비만학회 11일 '비만 교육자' 공청회...소비자단체·개원가 의견 수렴
'비만 교육자' 필요성 공감...수가 인정·교육내용·방법 등 숙제 산적
비만인은 정상인보다 당뇨병·고지혈증·고혈압·관상동맥질환 등 만성질환에 잘 걸리며, 각종 암과 관절질환의 발병률이 높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의료비를 증가시키고, 노동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비만을 '21세기 신종 전염병'으로 규정했다.
국가 차원에서 21세기 신종 전염병인 '비만'을 관리하지 않으면 의료 위기는 경제 위기에 직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배경도 이 때문이다.
학회 차원에서 비만 관리 방안을 모색해 온 대한비만학회(이사장 유순집·가톨릭의대 교수·부천성모병원 내과)는 11일 제42차 춘계학술대회에서 공청회를 열어 '비만 교육자' 인증제도를 제안하고 나섰다.
비만학회는 "올바른 비만 치료와 교육을 위한 인증제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식품·영양·운동·소비자·의료계 등 다양한 분야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공청회를 열게 됐다"고 밝혔다.
공청회는 신현호 단국의대 교수(제일병원 순환기내과)와 이규래 가천의대 교수(길병원 가정의학과)가 좌장을 맡았으며, 식품·영양·운동·소비자·의료계 등 비만과 관련이 있는 각계 패널이 지정토론을 펼쳤다.
시민단체를 대표해 패널토론에 나선 이주영 녹색소비자연대 생활안전네트워크 본부장은 "다이어트와 비만에 관한 소비자 피해 사례를 분석해 보면 과대광고나 잘못된 설명으로 인한 문제가 대부분"이라며 "비만 관리는 개인의 미적 영역이 아닌 건강관리 영역으로 확대 재정립해야 한다"면서 "체계적으로 관리해야만 소비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비만관리 교육은 관련 질환·약물요법·식이요법·운동요법 등을 통합해 라이프 스타일을 바꾸고 실천이 되게 하는 교육과정이 돼야 한다"며 "비만학회의 비만교육자 과정이 소비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디딤돌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조연희 대한개원내과의사회 정책이사는 개원의 대상 설문조사를 토대로 "비만 교육자 수료나 인증제도 도입은 찬성하지만, 의사에게 '비만전문의'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은 부정적으로 나왔다"고 밝혔다.
조 정책이사는 "개원의들이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비만 치료를 하고 있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비만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많지 않은 것도 이유일 수 있지만, 개원의들의 비만 치료에 대한 인식이 바껴야 한다"고 지적했다.
"비만교육자 자격은 교육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연계해야 한다"고 밝힌 조 정책이사는 "비만 치료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목소리를 제대로 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영양학계를 대표해 토론에 나선 손정민 원광대 교수(식품영양학과)는 "비만 교육자 인증 제도를 통해 비만 교육의 질을 높이고 표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실질적으로 비만 자격증 제도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수가 인정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수가 인정에 무게를 실었다.
유순집 대한비만학회 이사장은 "비만 관리와 치료에 관해 수많은 잘못된 정보가 인터넷에 넘쳐나고 있고, 이에 현혹돼 국민건강까지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면서 "의료인을 비롯해 영양·운동·기초학 등 비만 관련 전문학술단체인 비만학회가 앞장서서 잘못된 비만 정보를 바로잡을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비만 교육자 인증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비만학회는 오는 6월 17일 고려대에서 학회 분과위원과 교육위원들이 참여하는 비만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워크숍을 열어 비만교육자 교육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의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