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및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 일상 회복 도와
앞으로는 재활 로봇을 활용해 뇌졸중 환자,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능동적이고 반복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서울대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병원장 윤강섭·서울의대 교수) 재활의학과는 국립재활원 로봇보급사업의 일환으로 2014년 12월 손 재활로봇과 체간보정 재활로봇을 도입해 환자의 재활 치료에 활용중이라고 밝혔다.
손 재활로봇은 뇌졸중환자나 척수손상환자가 손 기능이 떨어진 경우 재활을 돕기 위해 게임과 같은 흥미요소를 결합해서 지루한 느낌을 덜 느끼게 하면서 환자의 치료시간과 치료 만족도를 높이는데 활용되고 있다.
체간보정 재활로봇은 뇌졸중 환자나 척수손상환자가 몸의 균형을 잡고 앉거나 일어서는 기능이 떨어졌을 때 간단한 게임을 접목해 보다 재미있게 재활치료를 받아서 균형을 바로 잡고 보행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손 재활로봇과 체간보정 재활로봇은 주로 입원 환자 치료에 활용 되며 입원 기간 중 매일 각각 1회씩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이시욱 교수(재활의학과)는 "재활로봇이 기존 작업치료사의 물리적인 노력을 대체함으로써 재활의 효과를 높이고 환자가 보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다"며 "앞으로도 재활로봇의 임상 연구와 활용을 통해 환자의 일상 회복을 앞당길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