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양선 교수팀, "난청 문제 풀려면 종합적 대책 필요" 강조
남성-저학력-저소득층서더 발생...소음·우울감·빈혈·뇌졸중·흡연도 원인
조양선 교수(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연구팀은 국민건강연구조사를 토대로 12세 이상 국민 1만 845명을 대상으로 난청 유병율을 조사해 이 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청각저널>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에 따르면 정상 고막 소견을 보이는 인구에서 양쪽 귀 중 잘 안 들리는 귀를 기준으로 난청 인구를 조사한 결과, 전체 21.9%가 난청의심 소견을 보였다.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2명꼴이다.
이러한 난청은 나이에 따라 직접적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가 본격화되는 40대 이상을 따로 분석하면 유병율이 34.8%로 치솟는다.
같은 노년층이라고 하더라도 60대에서 70대로 넘어가면 유병률이 2.5배 늘어나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다. 70세 이상만 보면 81.9%가 난청 인구로 조사됐다.

40대 이상 7434명 가운데 남자의 경우 유병률이 40%로 여자 29.9%에 비해 10% 가량 차이가 났다. 상대 위험도를 따졌을 때 남자가 여자보다 확률적으로 47% 난청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수입이나 학력처럼 난청과 무관해 보이는 개인의 배경환경도 관련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위소득 계층의 유병률은 56.8%로 절반을 훌쩍 넘긴 반면 중위 계층은 32.9%, 상위 계층은 23.1%로 급감했다.
학력을 기준으로 봤을 때도 고졸 미만이 49.5%로 가장 높았고, 고졸은 26.8%, 전문학사 이상은 18%로 학력상승에 따라 유병율이 감소했다.
이러한 난청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는 ▲직장 내 소음 ▲우울감 ▲빈혈 ▲뇌졸중 치료력 ▲흡연 등 5가지가 지목됐다.
연구팀이 난청 발생 요인을 종합분석 한 결과, 다른 조건이 같다면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돼야 하는 환경에서 일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난청 발생 위험이 1.28배 높다.
또 2주 이상 우울감이 지속된 경우 1.29배, 뇌졸중 발생 이력이 있으면 1.72배 증가했다. 빈혈 또한 난청 유발 요인 중 하나로 꼽혀 빈혈이 있으면 발생 위험이 1.36배 더 상승했다.
특히 흡연은 그 자체로 난청 발생위험을 1.36배 높이고, 20갑년을 기준으로 그 이상인 경우 1.55배까지 키웠다.
조양선 교수는 "난청을 단순히 질병 그 자체만 바라보면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어렵다는 걸 보여주는 연구"라며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난청 인구가 늘어나 사회경제적 비용도 따라 증가하고 있는 만큼 사회적·정책적으로 종합해 문제를 풀어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