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당뇨병 진료지침…목표혈당 유지·심혈관계 연계 담아

2019 당뇨병 진료지침…목표혈당 유지·심혈관계 연계 담아

  • 최원석 기자 cws07@doctorsnews.co.kr
  • 승인 2019.05.08 10:56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당뇨병학회, 11일 전체 공개 앞서 요약본 공개
목표혈당 6.5% 미만 유지·SGLT-2·GLP-1 권고

대한당뇨병학회가 11일 발표를 앞둔 '2019 KDA 진료지침' 요약본을 공개했다. 목표혈당을 기존 6.5% 미만으로 유지한 것과 심혈관질환 동반 환자에 SGLT-2 억제제·GLP-1 수용체를 권고하는 내용이 눈길을 끈다.

대한당뇨병학회는 8일 보도자료를 통해 '2019 KDA 진료지침'에 새로 담은 핵심 내용을 공개했다.

최근 당뇨환자의 목표혈당이 이슈가 되고 있다. 미국임상내분비학회는 목표혈당 6.5% 미만을 유지하고 있지만, 미국당뇨병학회는 7% 미만을 권고하고 나섰다. 미국내과학회는 7∼8%의 목표혈당을 제시했다.

이는 강력한 목표혈당 조절이 당뇨환자 치료에 혜택이 있는지에 대한 이견이 갈리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다.

대한당뇨병학회는 이번 지침에서 제2형 당뇨병 6.5% 미만, 제1형 당뇨병 7% 미만으로 결정했다. 목표혈당을 놓고 학회 내부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나왔지만, 기존 지침을 유지하기로 한 것.

제약계의 관심을 모은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 동반 환자 대상 우선권고 약제도 이번 지침에 반영했다.

당뇨병학회는 제2형 당뇨병환자의 경구약제에 대해 단독요법 시 최초 치료는 메트포르민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유지했다. 하지만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이 동반된 환자에게 경구용 약제로 SGLT-2 억제제 중 심혈관질환 예방효과가 입증된 약제를 우선적으로 고려토록 했다.

주사제의 경우에도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이 동반된 환자에게 GLP-1 수용체 중 심혈관질환 예방효과가 입증된 약제를 우선 고려토록 권고했다.

지침은 당뇨병환자의 일반적 혈압조절 목표를 140/85mmHg, 심혈관질환 동반 환자의 혈압목표를 130/80mmHg 미만으로 잡았다. 또한 모든 고혈압약제를 1차약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160/100mmHg를 초과하는 경우 생활습관 교정과 함께 초기부터 2가지 이상의 병용약물요법을 권고했다.

이상지질혈증 관리에 있어 당뇨병환자의 일반적 LDL 콜레스테롤 목표치를 100mg/dL 미만으로 하되 심혈관질환이 있거나 표적장기 손상 및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70mg/dL 미만으로 제시했다.

1차 치료제는 기존의 스타틴으로 유지하면서 목표치에 도달치 못할 경우 에제티미브나 PCSK9 억제제를 추가하는 것도 권고했다.

이번 지침은 새로운 챕터로 당뇨병환자의 비만관리를 담았다. 비만한 당뇨병환자는 기저 체중의 5∼10% 감량을 권고하되 체질량지수 25kg/㎡ 이상인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식사·운동·행동 요법으로 감량에 실패한 경우 항비만제 약물치료를 고려할 수 있도록 제시했다.

또한 체질량지수 30kg/㎡ 이상인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비수술치료로 혈당조절에 실패한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도록 권고했다.

이번 지침의 전체 내용은 5월 11일 경주에서 열리는 제32차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