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I·산소불포화지수·최저산소포화도 등 상관관계 높아
최지호·황세환 교수 공동연구 논문 미국ENT학회지 게재

흉부·복부의 움직임을 이용한 '호흡 역학 불안정성(Respiratory Mechanic Instability·RMI)' 지표가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유무 및 심각도를 매우 높게 반영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정상적인 호흡은 흉부·복부의 움직임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수면 중 바로 누운 자세에서 숨을 들이마실 땐 흉부와 복부가 위로 움직이고, 숨을 내쉴 땐 흉부와 복부가 아래로 움직인다.
반면에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폐쇄성 무호흡이나 폐쇄성 저호흡 같은 폐쇄성 호흡 장애가 발생하면 흉부와 복부의 움직임이 같은 방향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각자 다른 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런 현상을 반영한 지표가 '호흡 역학 불안정성'이다..
최지호 순천향의대 교수(순천향대 부천병원 이비인후과·수면의학센터장)·황세환 가톨릭의대 교수(부천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공동 연구팀은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받은 환자군(n=122)과 수면무호흡증이 없는 대조군(n=67)을 대상(총 189명)으로 '호흡 역학 불안정성' 지표와 '수면 호흡 장애' 지표의 상관관계를 평가하고, '호흡 역학 불안정성' 지표를 통한 수면무호흡증 진단 능력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호흡 역학 불안정성' 지표는 무호흡-저호흡 지수(AHI), 산소 불포화 지수, 최저 산소 포화도 등 '수면호흡장애' 지표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호흡 역학 불안정성' 지표를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인 곡선하면적(AUC)은 최대 0.91로 분석됐다. 곡선하면적은 1에 가까울수록 진단 정확도가 높다고 판단한다.
황세환 가톨릭의대 교수는 "코·목 등 상기도 협착에 의해 발생하는 수면무호흡증은 비정상적인 흉부와 복부의 움직임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번 연구는 이런 현상이 수면무호흡증의 유무 및 심각도를 매우 높게 반영한다는 사실을 입증한 첫 연구"라고 설명했다.
최지호 순천향의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호흡 역학 불안정성' 지표가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비교적 정확하고 간단하게 시행 가능한 검사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수면무호흡증 환자 진단은 물론 증상이나 합병증을 예측하거나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성인 폐쇄성수면무호흡증에서 호흡 역학 불안정성과 호흡 지표 간의 연관성' 제목으로 미국 이비인후과학회 공식 학술지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