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응급의학회 "응급 상황서 적절한 의뢰·전원 지침 필요"
1차 의료기관·요양병원 전원 환자 수용 위한 시스템도 제안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발열·호흡기 증상 환자 전원 시 감염 위험 등으로 이송 절차가 신속하게 이뤄지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면서 환자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이에, 대한의사협회가 대한응급의학회와 함께 '발열 및 호흡기 증상 환자에 대한 전원 가이드라인' 개발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의협은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응급의료 등의 상황으로 타 의료기관에 진료 의뢰 또는 전원이 필요한 발열 및 호흡기 증상 환자가 적절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의협은 "일선 의료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환자를 신속하고 적절하게 진료하기 위해 가이드라인 개발을 결정했다"며 "가이드라인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대한응급의학회에 개발을 의뢰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될 가이드라인은 국가에서 제공하고 있는 '응급의료기관 자원 정보'를 최대한 활용, 응급환자의 중증도 및 감염 위험도 평가와 함께 환자 상태에 맞는 진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응급의료기관 선정 과정 등을 담았다.
현행 응급의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필수 절차 등을 검토, 1차 의료기관 및 요양병원 전원 환자 수용을 위한 국내 시스템 제안도 함께 포함될 예정이다.
조민호 의협 기획이사 겸 의무이사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코로나19 감염 의심 환자가 응급실을 내원하게 되는 경우, 감염 위험도 평가 및 사전 분류를 통해 의료진이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며 "이를 통해 환자들이 최선의 진료를 보장받을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