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뇌졸중학회, 첫 '급성 뇌졸중 인증의' 505명 배출
전국 뇌졸중센터·급성 뇌졸중 인증의 분포 불균형 존재
365일 24시간 전국 뇌졸중 안전망 확대 의료진 확보 관건
대한뇌졸중학회가 올해 처음 도입한 '급성 뇌졸중 인증의'에 신경과 전문의 505명이 인증받았다.
대한뇌졸중학회는 최근 열린 국제학술대회(ICSU 2024·11월 28∼30일)에서 급성 뇌졸중 인증의 심사 결과를 공개하고, 검증된 급성 뇌졸중 인증의를 기반으로 전국 뇌졸중 치료 안전망이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급성 뇌졸중 인증의는 급성기 뇌졸중 진료에 전문적인 자격과 능력을 갖춘 신경과 의사를 인증함으로써 필수중증응급질환인 뇌졸중에 대해 1년 365일 24시간 진료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향후 지속가능한 전문 인력 운용체계 확립을 위해 대한신경과학회와 대한뇌졸중학회가 인증하는 제도다.
올해 처음 도입된 급성 뇌졸중 인증의 심사는 9월 2일부터 약 1개월 간 인증의 신청과 2차 심사과정을 거쳐 이번에 505명의 신경과 전문의가 인증 받았다.
고상배 신경과학회 정책이사(서울대병원 신경과)는 급성 뇌졸중 인증의 제도 시행 과정에 대해 발표했다.
고상배 정책이사는 "급성 뇌졸중 인증의 자격검토 과정에서 뇌졸중 전공 여부, 급성 뇌졸중 환자 진료 경험, 뇌졸중학회 혹은 신경과학회 교육·활동 등 뇌졸중 관련 진료, 연구, 교육에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경우에 한해 급성 뇌졸중 인증의로 인증받았다. 독립적으로 진료하고 초급성기 뇌졸중 치료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신경과 전문의"라면서 "처음으로 진행하는 급성 뇌졸중 인증의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공유하고 향후 공정하고 지속적인 인정의 심사 과정이 지속될 수 있도록 다양한 보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119의 급성 뇌졸중 환자 이송지침을 뇌졸중센터로 변경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경복 정책이사(순천향대서울병원 신경과)는 "서울 이외 지역응급센터의 30% 이상에서 급성기 치료가 안 돼 재이송을 하기 때문에 골든타임을 놓치게 된다. 지역응급센터 중 취약지역을 커버할 수 있고 성장 가능성이 있는 곳을 선별하고, 인력지원 등을 통해 거점 뇌졸중센터로 성장시켜 전국 뇌졸중센터 숫자를 늘려야 한다"라면서 "현재 119의 급성 뇌졸중 환자 이송지침을 지역응급센터에서 뇌졸중센터로 변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급성 뇌졸중 인증의 제도의 연착륙도 기대했다.
이경복 정책이사는 "24시간 급성 뇌졸중 진료가 불가능한 것은 제대로 치료할 수 있는 의료진이 없기 때문이다. 대한뇌졸중학회의 급성 뇌졸중 인증의는 현재 뇌졸중 치료 시스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라면서 "현재 급성 뇌졸중 인증의의 52.3%가 서울·경기 지역에 분포하는 반면(서울 161명, 경기 103명), 강원 지역은 14명, 광주·전남 지역은 37명으로 급성 뇌졸중 인증의 숫자도 지역별 불균형이 존재한다. 각 취약 지역 뇌졸중센터와 전문 인력 확보가 동시에 진행돼야 하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뇌졸중 의료진의 인력난에 대한 우려도 이어졌다.
김영서 한양의대 교수(한양대병원 신경과)는 "뇌졸중은 대표적 필수중증응급질환으로 빠른 시간안에 진단과 치료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뇌졸중 의심 환자를 진료할 때 신경과 의사의 업무부담이 높기 때문에 뇌졸중을 전공하는 의사가 점차 줄고, 인력난은 더욱 심해질 것"이라면서 "앞으로 뇌졸중 진료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경문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성균관의대, 신경과)은 "뇌졸중은 적정 시간내에 적절한 치료를 받느냐에 따라 환자의 예후가 급격히 달라지는 필수중증응급질환이다. 급성 뇌졸중 인증의를 기반으로 뇌졸중 치료 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양한 네트워크 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면서 "뇌졸중학회는 지속적인 급성 뇌졸중인증의 확보를 진행해 한국의 뇌졸중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