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비만학회, 수술·약물요법 등 우선적 보험급여 혜택 촉구
각종 질환 위험에 노출돼 있는 초고도비만 환자가 국내에 10만명 이상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들 중에는 적절한 수술요법이나 약물요법을 통해 체중을 줄이고 질환 위험도를 낮출 수 있는 만큼, 건강보험 혜택 등 정부의 지원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비만학회는 18일 7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성모병원에서 '제32차 춘계학술대회'를 열었다. 특히 이날은 고도비만의 위험성을 널리 알리고 사회적 관심을 촉구하고자 '비만의 날' 행사를 열어 한국인의 고도비만 현황과 비만 인식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염근상 대외협력이사(가톨릭의대 교수·의정부성모병원 가정의학과)는 "국내에 체질량지수(BMI)가 40이상인 인구는 5만명 정도, 37이상인 인구는 10만명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며 "고도비만 환자들이 대부분의 낮시간을 집에서 보내고 사회 생활을 극도로 꺼리기 때문에 실제 인구는 더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염 이사는 이어 "특히 저소득층과 여성에서 고도비만 비율이 높아 악순환이 예상되고, 20~30대 젊은 층에서도 고도비만 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 더욱 큰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것"이라며 "수술과 약물요법이 도움이 될 수 있는 초고도비만 환자들만이라도 건강보험 혜택을 주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학회는 ▲BMI 40이상 ▲BMI 35~37이상이면서 당뇨·고혈압·고지혈증·관절염 등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 ▲수술요법으로 확실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경우 등을 우선적인 급여 적용 대상으로 보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는 등 정부를 설득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오상우 연수이사(동국의대 교수·동국대일산병원 가정의학과)는 "더이상 비만을 미용적 측면에서 보는 것은 곤란하다"면서 "엄격한 기준을 통해 적극적인 치료가 불필요한 환자를 가려내야겠지만, 정말 치료를 필요로하고 형편이 어려운 사람에게는 국가가 나서서 도움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학회가 이날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비만과 관련해 병원을 방문한 사람들조차 6%만이 BMI를 안다고 응답했고, 실제 비만인 경우도 BMI에 대한 인지율이 50%에 그쳤다. 또 20~30대 남성의 초고도비만(BMI>40) 유병률(0.42%)은 50~60대 남성에 비해 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