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성과에 대해 한정호 교수는 "일반적인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천공의 경우, 특히나 고령의 환자에서 큰 개복수술로 위험이 높아지는 경우에 유용한 치료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환자와 보호자가 시술을 믿고 따라 준 덕분에 좋은 치료 결과를 낸 것"이라고 말했다.
한 교수는 충북의대를 졸업하고, 청주성모병원 소화기내과장,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보험위원 및 정보통신위원, 대한췌담도학회 보험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현재 충북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작권자 © 의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