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약사회와 한국제약협회가 출자한 (재)약학정보원이 환자가 약국에서 약을 타는 과정에서 환자 건강정보를 불법유출한 정황이 포착됐다. 대략 2007~2012년까지 300만건의 처방정보가 불법수집된 것으로 확인됐다. 불법수집된 처방정보는 다국적사에 팔려나간 것으로 확인됐다.
추가조사에 따라 많으면 불법유출된 정보가 수 억건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건강정보 유출혐의가 확인되면 약학정보원을 설립한 대한약사회와 제약협회 역시 비난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약학정보원은 약사회 출연기관으로 약사회장이 약학정보원장을 임명한다.
서울중앙지검이 환자의 건강 정보를 빼돌린 의혹으로 (재)약학정보원을 11일 전격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약학정보원이 의약품 처방조제 정보를 관리하는 업체에 제공하는 과정에서 개인 건강정보 수백만건이 담긴 DB를 다국적기업으로 무단유출한 정황을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약학정보원은 의사의 처방전을 가지고 약국에 온 환자에게 동의도 받지 않고 환자진단명과 이름, 처방받은 약물정보를 고스란히 빼돌린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약학정보원이 처방정보를 빼돌린 방법은 약국 청구프로그램인 'PM2000'을 통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약사가 환자 처방정보를 심사평가원에 보내기 위해 입력하면 자동으로 처방정보가 약학정보원에 저장되는 방법을 쓴 것으로 보고 있다.
'PM2000'은 약학정보원이 만들어 배포한 약국 청구프로그램이다.
환자가 동네의원에서 처방전을 받아 약국에 가면 약국은 처방된 약을 조제하고 심평원에 처방정보를 보내면 본인부담금을 제외한 정부 부담금을 돌려받게 된다. 약국은 이 과정에서 환자 처방정보를 심평원과 약학정보원으로 동시에 쏴 준 셈이다.
대략 2007~2012년까지 300만건이 넘는 처방정보가 약학정보원을 통해 다국적기업 등으로 팔려나간 것으로 확인됐다.
이 과정에서 환자들은 가장 민감한 개인정보라 할 수 있는 처방정보가 동의없이 고스란히 빠져 나간 꼴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