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성순·백성희 교수, 비만과 지방간 억제하는 새로운 신호경로 규명
'RORα' 핵수용체가 간 내 지방대사 조절해 비만 억제 사실 밝혀내
'알오알 알파(RORα)'라는 핵수용체가 간 내 지방 대사를 조절해 비만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기전이 밝혀졌다.
비만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제2형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등 각종 대사 질환들을 일으킬 수 있는 질병이다.
잘못된 생활습관과 식습관 뿐만 아니라 유전적 요인 역시 비만을 유발하는 중요 인자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어떤 유전자에 의해 비만이 조절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RORα라는 핵수용체가 지방세포 형성 및 분화를 촉진하는 핵수용체 'PPARγ'의 신호 전달 체계를 간 내에서 억제해 비만 및 비 알코올성 지방간 생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비만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대한 유전적 치료제 개발 가능성이 열리게 됐다.
기존에 RORα는 지방 대사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 따르면 정반대로 RORα가 간 내 지방 대사를 억제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더 주목받고 있다.
황성순 교수(강남세브란스병원 의생명과학부)와 백성희 교수(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연구팀은 지방간 생성을 억제하는 RORα핵수용체의 기전을 밝힌 연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간에 RORα결핍이 있는 쥐와 정상쥐에게 일반식과 고지방식을 섭취시켰다. 그 결과, 일반식을 섭취한 경우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고지방식을 섭취한 경우 RORα가 결핍된 쥐에서 심각한 비만과 지방간이 유발됐다.
분자생물학적 실험결과, 고지방식에 의해 비만이 일어날 경우 간에서 PPARγ 신호가 과도하게 활성화돼 지방축적이 활발해지는데, 이 때 간에 있는 RORα가 PPARγ의 과도한 신호체계 증가를 제어해 지방간 유발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됐다.
또 연구팀이 PPARγ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약물인 GW9662를 고지방식과 같이 투약한 결과, 간 특이적 RORα 결핍 쥐에서도 비만과 지방간이 의미 있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됐다. 즉, RORα가 PPARγ의 활성화를 억제해 비만과 지방간을 억제하는 기전을 다시 한 번 확인한 것.
황성순 교수와 백성희 교수는 "RORα가 PPARγ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간에서의 지방 대사를 조절해 비만을 억제하는 기전을 규명했다"며 "비만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위한 신개념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7월 31일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