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 교수, 코로나19 방역 실패 가리고 헌신한 의료진 모욕"

"김윤 교수, 코로나19 방역 실패 가리고 헌신한 의료진 모욕"

  • 최승원 기자 choisw@kma.org
  • 승인 2020.04.14 16:19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의협, 김윤 서울의대 교수 한겨레신문 기고 비판

ⓒ의협신문
ⓒ의협신문

대한의사협회가 "김윤 서울의대 교수가 기고한 칼럼이 코로나19 피해를 줄이기 위해 현장으로 달려간 의료인의 땀과 눈물을 매도했다"고 지적하고 "고 허영구 원장에 대한 추모와 슬픔이 가시지 않은 지금, 대한민국 의료인의 상처에 소금을 뿌리고 있다"며 분노를 터트렸다.

김윤 서울의대 교수(의료관리학교실)는 13일 '민간병원 덕분이라는 거짓'이라는 글을 한겨례신문에 기고했다.

의협은 14일 김 교수가 "거듭된 전문가단체의 권고에도 감염원 차단에 소극적이었던 한국은 중국 이외 지역 가운데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코로나19가 대규모로 확산됐지만 성숙한 시민의식과 의료인의 헌신으로 초기 방역 실패를 극복한 사실를 '(방역이) 성공적'인 것처럼 왜곡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방역은 성공적이었으나 진료가 잘됐다고 하기는 어렵다며 국민과 의료인의 노력과 성과를 폄하했다"라고도 질타했다.

김 교수는 기고에서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코로나19 치명률이 한국보다 높은 이유는 한국의 민간병원이 유럽의 공공병원보다 환자를 더 잘 치료해서가 아니라 노인 환자가 많은 이탈리아나 스페인보다 상대적으로 환자가 젊었기 때문"이라며 "연령 구조를 보정하면 한국과 스페인의 치명률은 거의 차이가 없고 이탈리아의 치명률도 한국의 약 2.5배에 불과하다"고 의료진의 노력을 폄하했다.

또한 "민간의료기관은 마치 병상만 많이 차지하고, 제 역할을 하지 못한 것처럼 기술해 코로나19 극복에 헌신한 의료인의 땀과 눈물을 매도하고 코로나19 사태 가운데 심근경색과 뇌출혈 환자를 돌보는 의료인을 욕심 많고 정의롭지 못한 의료인으로 전락시켰다. 어려움 속에서도 지정병원으로 소임을 다한는 대구동산병원 의료인을 부인하고 서울과 전국 각지의 3차 의료기관의 노력을 정확한 수치도 확인하지 않은 채 폄하했다"고 분노를 터트렸다.

김 교수는 기고에서 "대구·경북은 종합병원과 병원 27곳, 약 4만개의 병상이 있었지만 5천명 정도(경증환자 제외)의 코로나19 환자도 제대로 수용하지 못했다"며 "전체 병상의 10%에 불과한 공공병원이 코로나19 환자 4명 중 3명을 진료했지만, 전체 병상 중 90%의 민간병원은 나머지 1명만 진료하는 데 그쳤다"고 민간병원의 역할을 평가절하했다.

의협은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산하 보건의료위원회의 위원장을 맡는 등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김 교수의 현실 인식에 실망을 넘어 개탄한다"며 "동시에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위기에서 몸을 아끼지 않고 있는 동료에게 이런 모욕은 없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에게 "코로나19 위기 극복이 절실한 때 의료체계를 민간과 공공으로 단순하게 이원화하고, 마치 편이라도 가르듯 공공기관의 공만을 부각하는 저의가 무엇이냐"고 묻고 "의연하게 자리를 지키다 희생된 동료와, 오늘도 진료현장을 묵묵하게 지키는 수많은 의료인을 모욕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성명서>동료의 희생을 모욕하는 아전인수(我田引水)와 곡학아세(曲學阿世)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

 

경북 경산의 내과의원에서 지역주민의 건강을 지키며 인술을 펼쳐온 동료, 故허영구 원장님이 우리 곁을 떠난 지 열흘하고도 하루가 지났다. 고인에 대한 추모와 슬픔이 채 가시지 않은 지금, 한 교수의 기고문이 대한민국 의료인들의 상처에 소금을 뿌리고 있음에 깊은 분노를 표한다.

 

14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는 '민간병원 덕분이라는 거짓'이란 글을 한겨레신문에 기고하였다.

 

중국으로부터의 입국을 조기에 차단한 대만, 홍콩, 싱가포르는 중국과 인접해 있음에도 적은 피해로 초기 방역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거듭된 전문가단체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감염원 차단에 소극적이었던 대한민국은, 중국 이외 지역 가운데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코로나19가 대규모로 확산되었지만, 국민들의 성숙한 시민의식과 의료인들의 헌신을 통해 초기 방역의 실패를 극복해왔다.

 

그러나 김윤 교수는 기고에서 '눈앞의 성공'이라는 표현으로 초기 방역의 실패를 덮는 것으로도 모자라, 방역은 성공적이었으나 진료가 잘되었다고 하기는 어렵다며 국민과 의료인들의 노력과 성과를 폄하하였다. 공공의료의 민낯을 드러낸 국가의 코로나19 대응 상황을 옹호하며, 나이 보정 사망률이 대한민국의 2.5배에 '불과'하다는 표현으로 국민에게 잘못된 현실인식을 전달하였다.

 

병상을 기준으로 공공의료기관에서 75%의 환자를 치료하였으며, 민간의료기관은 마치 병상만 많이 차지하고, 제 역할을 하지 못한 것처럼 기술하여 코로나19 피해를 줄이기 위해 현장으로 달려간 자발적이고 헌신적인 의료인들의 땀과 눈물을 매도하였다.

 

코로나19 사태 가운데 심근경색, 뇌출혈 등 의사들의 손길이 필요한 환자들을 돌보는 의료인들을 욕심 많고 정의롭지 못한 의료인으로 전락시켰다. 어려운 가운데에도 지정병원으로서의 소임을 다하고 있는 계명대 대구동산병원의 의료인들을 부인하였으며, 병세의 악화로 ECMO 등의 도움이 필요한 환자를 받아내는 서울과 전국 각지의 3차 의료기관들의 노력을 정확한 수치도 확인하지 않은 채 폄하하였다.

 

대구에서 발생한 대량의 환자가 효율적인 의료자원의 이용을 위해 전국의 일부 공공의료기관으로 분산되어 치료되고 있는 사실을 왜곡하여 마치 지역 내의 공공의료가 매우 부족한 것처럼 말함과 동시에 전국공공의료체계의 존재 이유를 부정하였다.

 

특정한 시기 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감염병 환자의 치료를 위해 그 지역 내에 그 만큼의 병상이 필요한 것처럼 말하고 있다. 병상을 보유한 민간의료기관이 병상을 내주지 않아 환자가 사망했고 이 때문에 다른 지역의 병원으로 환자의 이송이 필요했다고 주장했다.

 

학자 개인의 의견이라 변명할 수도 있겠으나, 대통령 직속 기관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산하 보건의료위원회의 위원장을 맡는 등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인물의 현실 인식에 의료계는 실망을 넘어 개탄한다. 동시에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보건의료 위기에서 몸을 아끼지 않고 있는 동료들에게 이러한 모욕은 다시는 없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

 

국민과 의료계, 정부와 지자체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한 감염병 위기 극복이 절실함에도 오히려 의료체계를 민간과 공공으로 단순하게 이원화하고, 마치 편이라도 가르듯 공공기관의 공로만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저의가 무엇인지 김윤 교수에게 물으며, 강력히 경고한다.

 

의연하게 자리를 지키다 희생된 동료와, 오늘도 진료현장을 묵묵하게 지키고 있는 수많은 의료인들을 모욕하지 말라.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