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역량 교육 등 평생학습 차원 접근 지원 방안 모색
임상술기센터 활용·책임지도전문의 시범사업 등 필요
"피교육자이면서 근로자라는 이중적 지위의 전공의는 국가가 평생학습 차원에서 계속 교육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존중·윤리·환자안전·사회·전문성·수월성·의사소통·팀워크 등 공통역량 교육에 대한 국가 지원방안을 모색한 정책보고서 <전공의 공통역량 교육 국가 지원 방안>(의협 의료정책연구소. 2021년 6월)에 따르면 한국의 전공의 교육수련과정은 선진국에 비해 20년 정도 뒤떨어진 것으로 평가받는다.
전문의제도가 도입된지 50년이 지나도록 의국 중심, 해당 전문과목 중심의 폐쇄적이고 경직된 수련제도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공통역량이 국내에 소개된 후 몇 차례 후속 연구가 진행됐지만, 전공의 수련에 구체적으로 체계화되지 못한 채 선언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지난 2019년 시행된 전문의시험에 공통역량이 처음으로 제시된 상황이다.
전공의들의 공통역량 교육을 위해서는 평생학습 차원에서 국가의 지원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미국의 경우 전공의 1인당 2억원, 특히 소아과의 경우는 2억 2000만원 가량이 직간접적으로 지원되는 상황이다.
그렇다면 공통역량 교육 지원을 위해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먼저 교육부 사업으로 올해 착공 예정인 임상술기센터를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병원 전문과와의 협력을 통해 진료과별 지도전문의가 임상교육훈련센터 강사로 참여토록 해 실제 임상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을 시행케 하고,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집중화된 실습교육을 제공해 전공의에게 필수적인 임상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기대다.
책임지도전문의 시범사업을 통한 지원도 제안됐다.
현재 지도전문의제도는 충실한 전공의 수련교육을 목적으로 도입됐으나, 실제로는 전공의 정원 책정 기준으로 적용되면서 수련병원들이 전공의 정원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며 기능과 의미가 퇴색됐다. 전공의 수련교육을 총괄하면서 적절한 수련이 이뤄지도록 돕는 책임지도전문의제도 정착이 시급하다. 이와 함께 선진국의 지도전문의 훈련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고 한국의 수련환경을 고려한 한국형 지도전문의 훈련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는 진단이다.
대한의학회의 위탁으로 대한병원협회가 진행하는 온라인 교육은 효율성을 얻기 위해 운영 전반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E-포트폴리오 구축 방안도 제시됐다.
E-포트폴리오에는 전공의가 경험한 내용, 피드백 내용, 자기 성찰 내용 등을 기록해 스스로 자기 개발과 역량 발달을 증명해야 하며, 지도전문의는 현장 교육 재용, 관찰 내용, 평가 등을 기록한다. 기록된 모든 내용은 전공의 졸업역량 평가에 사용된다.
시스템·콘텐츠 관리의 중앙 집중 방식은 초기에 비용이 많이 들지만, 전공의 수련·지도·평가 영역이 통합 관리돼 성공적인 수련환경 조성에 도움이 된다는 지적이다.
공통역량 교육 지원에 소요되는 재원은 어떻게 마련할까.
보고서는 사학연금 재원 신설과 교육부 평생학습 예산 증액 등 두 가지 방안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