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8 17:57 (목)
코로나19 장기화의 또 다른 그늘, 우울과 울분
코로나19 장기화의 또 다른 그늘, 우울과 울분
  • 송민서 인턴기자 ksj8855@doctorsnews.co.kr
  • 승인 2021.07.19 18:17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우울 증상 호소, 코로나19 이전 보다 크게 늘어
코로나19 방역 현장 의료진 10명 중 3명...감정 고갈·냉소 등 번아웃 증상
한창수 교수 "온·오프라인 통합 서비스...인프라 구축·인건비 현실화" 제언
ⓒ의협신문
ⓒ의협신문

코로나19의 장기화가 국민과 의료진의 정신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한창수 고려의대 교수(고대 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과)는 최근 발간된 대한의사협회지에 실은 논문을 통해 이슈로 떠오른 '코로나19 시대의 울분과 외로움 관리를 위한 연결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사람간의 접촉이 줄어들면서 상호간의 연결고리가 끊어진 요즘 우울과 불안, 울분, 그리고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 2020년 이후 여러 연구자들이 보고한 정신건강 연구들을 메타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유병률은 29.6%, 불안증상 유병률은 31.9% 우울증의 유병률은 33.7%로 각각 조사됐다.

이탈리아 의료진이 수행한 'COVID-19 생존자의 불안과 우울증'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대상인구의 56%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우울증상·불안 및 강박증상·불면증을 보여, 평소 유병률에 비해 휠씬 많은 사람들이 심리적 증상에 시달리고 있다고 보고했다.

국내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한창수 교수는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되고 9개월 시점에서 시행한 국내 정신건강 실태조사(2019년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병의 심리적 영향)에서는 우울과 불안을 호소한 사람들의 비율이 각각 22.1%, 18.9%로 코로나19 유행 전의 우울 고위험군(3.8%)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고 소개했다.  

또 다른 정신건강의 적신호는 분노와 울분의 증가이다. 

2020년 11월 시행한 국내 연구(분노 경험과 COVID-19 예방 조치 준수 및 정신 건강 문제 사이의 관계)에서 응답자의 27%가 코로나19 이후 분노 수준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주된 분노 유발요인은 코로나19로 인해 '자유가 제한된 일상'과 '타인의 예방 수칙 미준수 행동' 이었으며, 이 분노가 쌓이면 울분의 원인을 타인으로 삼는 일명 '마녀사냥' 과 같은 행동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한창수 고려의대 교수
한창수 고려의대 교수

의료진들의 정신건강에도 비상이 걸렸다. 

의사들의 업무 특성상 스트레스 레벨이 높은 환경에서 근로하는데다가 코로나19 방역까지 책임지다보니 업무 과다 등의 이유로 불안과 우울증상, 그리고 스트레스 수준까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과 경기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이 의료진 등 1112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제2차 경기도 코로나19 치료·인력 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33.8%가 감정적 고갈과 냉소, 효능감 저하 등 번아웃 증상을 호소했다.

업무와 관련해 부당하거나 정의에 어긋나는 일로 인해 울분을 경험한 비율도 평균 69.7%로 나타났다. 울분의 주된 원인으로는 ▲불공정한 업무분배 ▲감정적 억지 민원 ▲비민주적 의사결정 ▲부당한 취급과 대우 ▲불공정한 보상 ▲책임 전가 등을 꼽았다. 

우울과 불안, 울분 그리고 외로움 같은 심각한 정신불안증상 때문에 신체 건강마저 악화될 수 있다. 

한창수 교수는 "세계적 위기상황에서 일정 수준의 불안과 우울은 받아들이고 견뎌내야 하는 것일 수 있다"면서도 "코로나19 시대에 다 같이 참고 있는 이들의 신체적 건강과 더불어 불안, 우울, 울분 등의 정신적 건강을 돌볼 수 있는 시스템을 관리하면서 이에 헌신하는 의료진을 포함한 인력들의 소진을 막기 위한 정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언택트 시대를 대비해 정신보건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 교수는 "지역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관리에 초점을 맞추던 현행 서비스를 온·오프라인으로 통합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이용한 서비스로 거듭나야 한다"며 "정책적 결정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실질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경제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전문인력 인건비 등의 현실화 등 진정성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