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현 가천의대 교수·이혁준 서울의대 교수 연구팀, 예측 모델 개발
총 1421명 대상 연구 자체 검증 91% 정확도…영양실조·체중감소 예방 도움
국내 연구진이 위 일부를 절제하는 위암 수술 후 체중 감소에 따른 영양실조를 91% 확률로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위암 수술 환자들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체중 감소나 영양 실조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지현 가천의대 교수(길병원 외과)·이혁준 서울의대 교수(서울대병원 외과) 연구팀은 총 14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위암 수술 전과 후의 체중을 측정해 BMI(체질량 지수)감소에 미치는 요인을 찾고, 이를 토대로 영양 실조 예측 모델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위암 수술 후 영양 실조 발생 위험이 있는 환자를 선별하기 위해 진행됐다. 근치적 위절제술은 위암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일부 환자는 위암 수술 후 체중이 10∼20% 정도 감소한다. 위 일부를 절제하는 만큼 체중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체중 감소는 환자의 회복을 느리게 할뿐 아니라 나쁜 예후로 이어질 수 있다.
박지현 교수는 "위절제술 후 영양 실조 위험이 높은 위암 환자를 식별하는 예측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후향적 연구를 수행했다"며 "이를 통해 영양 실조 발생 위험이 있는 환자를 미리 선별할 수 있는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대상자들은 위절제술 후 3년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수술 전후 1회 이상의 체중 측정 기록이 있는 환자들이었다.
연구결과 전체 1421명의 대상자 중 7.7%(109명)의 환자에서 심각한 체중감소를 보였다. 위절제술 후 체중감소를 보이는 이들의 특성으로는 ▲상대적으로 높은 연령 ▲여성 ▲수술 전 상대적으로 높은 BMI ▲진행성 위암 ▲개복수술 ▲위전절제술 ▲루와이 위 우회술(Rous-en-Y) ▲항암요법 ▲수술 후 합병증 등이었다.
또 위절제술 후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체중 측정 기록이 가능했던 환자 1281명을 대상으로 심각한 영양 실조 발생 여부를 조사했다.
조사결과 대상자 중 11.9%(152명)에서 심각한 영양 실조가 나타났다. 특히 영양 실조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수술 전 낮은 BMI ▲여성 ▲전체 또는 근위 위절제술 등 3가지 독립적인 위험 요인을 찾았다. 영양 실조는 유럽 임상 영양 및 대사 학회 진단 기준에 따라 체질량 지수(BMI)가 18.5보다 낮은 경우로 정의됐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영양 실조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했고, 이를 내부적으로 시뮬레이션해 검증한 결과 약 91% 정확도를 보였다.
박 교수는 "위절제술 6개월 후 영양 실조 위험에 대한 예측 모델을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했고, 이를 바탕으로 수술 전에 위암 수술 후 영양 실조 발생 위험이 있는 환자를 미리 선별할 수 있는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며 "이를 토대로 향후 영양 실조가 예상되는 환자에게는 집중적으로 영양을 보충해서 영양 실조나 체중감소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를 토대로 위암 수술을 받은 환자들이 건강을 빠르게 찾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슈프링어(Springer)'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Gastrointestinal Onc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Prediction Model for Screening Patients at Risk of Malnutrition After Gastric Cancer Surg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