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9 10:33 (금)
폐암수술도 '정밀의료 시대'…병기 따라 절제범위 조정
폐암수술도 '정밀의료 시대'…병기 따라 절제범위 조정
  • 이영재 기자 garden@kma.org
  • 승인 2022.11.14 11:45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홍관-조주희 성균관의대 교수팀, 국제학술지 잇달아 발표
림프절, 조기 환자 절제 최소화·3기 환자 광범위 절제 유리
"폐암 정밀수술로 생존율 향상 도모…암 극복 계기 마련"

폐암수술도 환자 특성에 따라 맞춤치료가 가능하다는 게 확인됐다. 

삼성서울병원 폐식도외과 김홍관·이정희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조주희 교수, 삼성융합의과학원 이진 박사과정, 존스홉킨스대학 홍연수 박사 공동 연구팀은 최근 수술 전 임상정보를 분석해 환자 맞춤형으로 림프절 절제 범위를 정할 수 있고, 생존율을 높이는 데도 유리하다는 결과를 국제 학술지 두 곳에 잇달아 발표했다. 

그동안 암의 병기나 침윤 정도와 상관없이 암을 포함해 주변 정상조직과 림프절까지 모두 잘라내는 게 일반적이었지만, 이번 연구로 폐암수술의 표준을 바꾸는 단초가 마련됐다는 평가다. 

재발과 전이를 막기 위해 광범위한 림프절 절제가 폐암수술의 주 목표인 것은 맞지만 유일한 목표는 아니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올 7월 세계폐암학회 공식 학술지인 <흉부종양학회지>(Journal of Thoracic Oncology·IF:20.12)에 림프절을 광범위하게 절제한 경우보다 최소 절제한 환자의 생존율이 더 높았다고 보고했다. 

육안으로 확인되는 종양은 물론 그 주변조직 및 인접 림프절에 미세전이가 있을 수 있는 암의 특성을 고려해, 잘라낼 수 있다면 최대한 림프절을 광범위하게 절제하는 것이 전통적 수술접근이다. 세계폐암학회의 완전절제 기준에 대한 권고안 역시 광범위 절제를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건강검진으로 발견되는 조기폐암이나 간유리음영 형태의 예후가 좋은 폐암의 경우 주변부 미세전이 가능성이 희박한 데도 일률적으로 광범위 절제를 적용하는 것은 환자에게 불필요한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지적돼 왔다. 

최소 절제는 미세전이 가능성이 없는 폐암에 한해 꼭 필요한 만큼만 절제하고 주변 림프절 등을 보존토록 하는 방법이다. 환자의 수술 부담을 줄여 수술 후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삼성서울병원 폐식도외과 김홍관·이정희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조주희 교수(사진 왼쪽부터)
삼성서울병원 폐식도외과 김홍관·이정희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조주희 교수(사진 왼쪽부터)

연구팀에 따르면 2008∼2016년 폐암수술을 받은 임상병기 1기부터 3기 사이 환자 5117명의 수술 후 5년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최소 절제 환자 중 주변 림프절을 모두 보존한 경우가 90%로 가장 높았다. 결절과 림프절 일부를 제거한 경우는 83%로 뒤를 이었다. 림프절을 남기지 않고 광범위하게 절제한 환자는 80%로 가장 낮았다. 

무진행 5년 생존율 역시 림프절을 보존한 최소 절제 환자(86%)가 가장 높고, 일부 절제 환자(74%), 광범위 절제 환자(70%) 순이었다. 

특히 이런 경향은 임상 병기 1기에 해당하는 조기 폐암이거나, 암의 악성도가 낮은 폐 선암 조직형(간유리음영결절)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연구팀은 "최소 절제한 환자들은 주로 폐암의 악성도가 낮고, 전이 위험이 뚜렷하지 않은 상황이었다"면서 "수술 전 평가에서 이런 환자라면 수술 범위를 최소화하는 편이 합병증 위험은 줄이고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반대로 연구팀이 앞서 <미국외과학회지>(Annals of Surgery·IF:13.78)에 발표한 다른 연구에서는 선행항암이 필요했던 환자들은 광범위 절제가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됐다.

연구팀은 2003∼2019년 종격동이나 기관분기 아래 림프절로 암이 뻗쳐 폐암 3기로 확인된 환자 910명의 수술 후 생존율도 비교 분석했다. 

앞서 사례와 달리 이들 환자는 광범위 절제 환자의 5년 생존율이 60%로 가장 높고, 최소 절제 환자가 52.9%로 그 다음이었다. 무진행 5년 생존율도 광범위 절제 환자(54.9%), 최소 절제(46.2%) 순이었다.

사망 위험을 상대적으로 평가했을 때 광범위 절제 환자 대비 최소 절제 환자는 18%나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재발위험도 비슷했다.

즉, 예후가 좋은 조기 폐암과 달리 진행된 폐암으로 선 항암방사선치료 후 수술할 경우 광범위하게 완전 절제를 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조주희 교수(공동 교신저자)는 "폐암수술 빅데이터 분석으로 수술에서도 정밀의료 구현을 증명한 연구"라면서 "개원초기부터 국제적인 수준의 폐암수술 레지스트리를 구축해 모은 양질의 임상기록들이 미래의 환자들이 암을 극복하는 데 소중한 밑거름이 됐다"고 평가했다.

김홍관 교수(공동 교신저자)는 "언제나 환자에게 답이 있다는 평범한 진리를 다시 한 번 일깨우게 됐다"며 "데이터에 기반한 정밀의료로 폐암수술 환자를 정확히 평가하고, 그에 맞춰 수술하면 환자의 조기 회복을 돕고 장기 생존에 대한 기대도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