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 모자르는 데 수혈 필요한 고령층 급증…"대안 마련 시급"

피 모자르는 데 수혈 필요한 고령층 급증…"대안 마련 시급"

  • 이영재 기자 garden@kma.org
  • 승인 2023.04.24 14:23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자혈액관리학회·국민의힘 이종성 의원, 혈액공급 부족 정책간담회
부족한 혈액 수급·적정수혈 통한 수요 감소…두 가지 측면 대안 모색
의료기관 수혈관리위원회 제역할 찾아야…수혈적정성평가 확대 바람직
만성 수혈 환자 합병증 부담 고통 심각…적혈구성숙제제 등 급여화 절실

대한<span class='searchWord'>환자혈액관리학회</span>와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보건복지위원회)은 4월 19일 '혈액공급 부족사태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간담회'를 열었다.
대한환자혈액관리학회와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보건복지위원회)은 4월 19일 '혈액공급 부족사태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간담회'를 열었다.

"수혈은 가장 편하고 보편적인 치료법이 아닙니다. 환자혈액관리 개념에 대한 교육이 필요합니다."
 
대한환자혈액관리학회와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보건복지위원회)은 4월 19일 '혈액공급 부족사태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간담회'를 열었다.

이번 정책간담회에는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 김태엽 대한환자혈액관리학회장(건국의대 교수·건국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이정재 순천향의대 교수(순천향대서울병원장·산부인과), 박선영 순천향의대 교수(순천향대서울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김정숙 보건복지부 혈액장기정책과장, 김준연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혈액안전감시과장, 손태원 보험약제과 사무관, 김국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신약등재부장, 장준호 약제기준부장, 박정숙 한국혈액암협회 사무국장 등이 참석해 혈액공급 부족 관련 현안과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우리나라는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 신종 감염병 등으로 혈액 공급 부족 문제에 봉착해 있다. 통계청의 혈액정보통계에 따르면 2022년 헌혈 실적은 264만건으로 2019년 대비 5% 감소, 동기간 수혈용 혈액 공급 실적도 4% 줄었다.  

문제는 헌혈 인구는 줄어드는 데 반해 수혈이 필요한 고령층은 급증하는 데 있다. 

혈액 공급 부족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부족한 혈액 수급 방법'은 물론 '혈액 적정 사용에 의한 수요 감소'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 

수술 및 혈액질환 환자들에서 부적절한 수혈 관행에 따른 잠재적 위험이 매우 큰 상황에서 부적절하거나 과도한 수혈 관행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국내 환자혈액관리의 문제점을 짚었다.

이종성 의원은 "고령화와 팬데믹으로 혈액부족 사태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혈액 공급을 헌혈 인구 혈액에만 의존하는 현실은 문제가 있다"라며 "국내의 과도한 혈액 사용 관행은 개선돼야 하며, 이를 통한 전반적 혈액 수요 감소가 절실하다. 이를 현실화하고 촉진할 실질적인 대책 혹은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정재 교수(대한환자혈액관리학회 전임 회장)은 "국내 의료계의 혈액 사용 적정성 강화를 위해서는 혈액 적정사용의 기본이 되는 환자혈액관리 개념의 교육 확대와 수혈을 가장 편하고 보편적인 치료법으로 간주하는 국내 의료진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정숙 과장도 "정부는 혈액 수급 안정화 및 의료기관의 사용량 관리, 관련 연구 활성화 및 지원을 위해 힘쓰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준연 과장은 "성공적인 해외 환자혈액관리 적용 가이드라인의 국내 도입과 적정 혈액사용을 위한 한국형 환자혈액관리를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연구와 시스템 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혈액 사용 적정성 향상에는 최근 입법으로 의료기관에 설치된 수혈관리위원회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수혈관리위원회가 기관내 혈액폐기율 관리 업무에 치중하는 현실이다. 위원회 설립 당시 역할과 업무 방향성에 대한 홍보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김태엽 환자혈액관리학회장은 "결과적으로 규모만 키운 채 과거 수혈위원회의 주업무인 혈액폐기율 관리에만 전념하는 현실을 초래했다"라며 "수혈관리위원회의 주업무가 기관내 수혈 적정성 자료 수집과 축적, 기관 내외 평가, 환자혈액관리 교육이라는 사실을 지금이라도 유관기관이 계도해야 하며, 이를 촉진하기 위해 위원회의 업무 인식 및 수행이 수혈적정성 평가사업의 평가지표로서 비중 있게 포함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수혈적정성 평가사업 확대와 강화 필요성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이정재 교수는 "국내 의료계의 혈액 사용 적정성 강화를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유관기관이 주도하는 수혈적정성 평가사업의 확대와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혈적정성 평가사업 확대의 최대 걸림돌은 평가에 이용가능한 세분화된 수혈 관련 자료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데 있다. 현재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로는 질환별, 수술별, 수술 중, 중환실, 수혈동기-사용량-수혈 후 증상 개선 여부 등에 대한 수혈 관련 내용 파악이 불가능하다. 

김태엽 회장은 "기존 심평원 행위 및 급여 코드 세분화를 통해 추가 투자없이 자료 수집 용이성과 생산성 향상을 담보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올해 시작되는 제2차 수혈적정성평가 항목 지표에는 '수술 전 철결핍빈혈환자 진단 및 치료율 평가'가 포함됐다. 

김태엽 회장은 "수술전 빈혈동반 환자의 원인 진단과 수술전 치료 여부는 적정수혈에 효과적이면서도 중요한 평가지표"라며 "수술전 빈혈을 진단하고 맞게 치료하면 수술중 수혈빈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기존 지표를 수술전 빈혈환자 진단 및 치료율로 개선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조혈 촉진제(적혈구형성자극제·적혈구성숙제제 등)와 대체 약제(혈액응고농축제·정맥철분제 등)의 신속한 도입과 급여 확대에도 의견을 모았다. 

박정숙 사무국장은 "평생 만성 수혈이 필요한 고리철적혈모구 동반 골수형성이상증후군(MDS-RS) 환자들에게 수혈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짧게는 2주, 길게는 3∼4주에 한 번씩 수혈을 받아야 하는데, 지속적인 수혈은 철과잉 혹은 중독, 심하면 간부전과 신부전을 초래한다"라며 "수혈로 인한 폐손상은 호흡곤란이나 현기증의 고통을 가중시킨다. 수혈과 합병증 빈도를 낮춰주는 고가의 적혈구성숙제제가 도입됐지만, 조속한 급여화가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김국희 부장은 "현재 수혈의존성 골수형성이상증후군 빈혈 치료제인 적혈구성숙제제(루스파터셉트)의 경우 임상적 유용성은 입증했으나 재정 효과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고려해 급여화를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국가 수혈 가이드라인에도 권장되는 수술전 빈혈환자에 조혈제(에리스로포이에틴) 투여도 현실은 급여삭감에 해당한다. 

장준호 부장은 "현재 조혈제 사용은 급여 적응증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삭감을 피하면서 수술전 빈혈에 사용하려면 허가초과 비급여 사용승인과 같은 추가 절차를 통해 기관별 사용을 모색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박선영 교수는 "심사평가원 급여기준 개선이 안 되면 조혈제의 수술전 빈혈 치료를 위한 투약은 어렵다. 급여기준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했으며, 이정재 교수도 "혈액질환 환자들이 겪는 많은 어려움을 고려해 비용효과성을 뛰어넘는 실질적인 환자 지원 방안이 절실하다"라고 덧붙였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