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대역 내시경 기술 적용한 담도내시경 분류법' 첫 개발
문종호 순천향의대 교수팀, 최고 권위 '미국소화기내시경학회지' 게재
결절형·유두형 표면구조, 불규칙·굴곡 있는 확장된 미세혈관구조 담도암 연관
진단이 어려운 담도암에 대한 조기진단 길이 트였다.
문종호 순천향의대 교수팀(순천향대부천병원 소화기병센터/이윤나·신일상 교수)은 담도암 조기 발견을 위해 '협대역 내시경 기술을 적용한 담도내시경 분류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5월 24일 밝혔다.
담도는 간에서 십이지장으로 연결되는 관으로 매우 가늘고 몸속 가장 깊숙한 곳에 있어 조기에 담도암을 발견하기 매우 어렵다. 또 초기 증상이 없다 보니 많은 환자가 암이 전이된 상태에서 발견되고 5년 생존율이 30%에 불과할 정도로 예후가 매우 나쁘다.
담도암을 조기진단해 완전히 절제 치료하려면 담관 안쪽을 직접 관찰하는 담도내시경 검사가 효과적이다. 하지만 기존 담도내시경의 영상 질이 낮고, 아직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담도내시경 분류법이 없어 담도암을 조기 예측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문종호 교수팀은 2008년∼2020년 협대역 내시경 기술을 적용해 담도내시경을 시행한 환자 471명의 검사 결과를 토대로 '표면구조'와 '미세혈관구조'를 나눠 분석하는 '새로운 개념의 담관 병변 분류법'을 처음으로 제시했다.
'협대역 내시경 기술'(Narrow-Band Imaging·NBI)은 기존 백색광 중 침투 길이가 짧은 청색광 영역을 상대적으로 강화해 내시경 영상을 재구성함으로써, 점막 표면과 미세혈관구조에 대한 관찰 능력을 극대화한다. 그동안 위암과 대장암의 조기 진단에 이용해 왔지만, 담도에는 적용이 어려웠다.
문 교수팀은 먼저 협대역 내시경 기술 적용이 가능한 고화질의 담도내시경 검사법을 이용해 관찰한 담관 병변들의 특징을 '표면구조'와 '미세혈관구조'로 나눴다.
'표면구조'는 반흔형(scarring), 함몰형(depressed), 궤양형(ulcerative), 용종형(polypoid), 과립형(granular), 섬모형(villous), 결절형(nodular), 유두형(papillary) 등 8가지, '미세혈관구조'는 혈관의 불규칙성과 확장정도, 굴곡정도에 따라 세분화해 5가지로 분류했다.
새로운 담도내시경 분류법을 이용해 담관 병변 분류법의 진단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담도암을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특히 결절형, 유두형 표면구조와 불규칙하거나 굴곡이 있는 확장된 미세혈관구조(irregularly or regularly dilated and tortuous vessels)를 가진 병변이 담도암과 높은 연관 관계가 있음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소화기내시경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 미국소화기내시경학회지 <Gastrointestinal Endoscopy>(IF: 10.396) 5월호에 게재됐다.
문종호 교수는 "우리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협대역 내시경 기술을 적용한 담도내시경 분류법'은 담도암을 조기에 정확하게 진단해 완치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연구 결과"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예후가 불량한 담도암을 조기 진단하고, 더 많은 환자의 생명을 살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