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치프레이즈 '의료의 정상화 김택우가 희망이다!'
의료정책연구원 기능 강화, 전공의 회무 참여 확대 공약
"명예와 권력이 아니라 오직 회원을 위해 어떠한 모욕과 멸시를 견뎌서라도 반드시 바로잡아 나가겠습니다."
제43대 대한의사협회장 선거에 나선 김택우 후보(기호 1번)는 4일 오후 출입기자단과 가진 인터뷰에서 이 같이 출마의 변을 밝혔다.
그는 "면허정지를 당하기도 했지만 전혀 굴하지 않았다"라며 "오로지 훈장만 있는 것이 아니고, 그렇다고 멍에만 있는 것도 아니다. 언제나 정도를 걷기 위해 노력했고, 회원의 아픔과 협회의 고난을 함께 헤쳐 나가는 데 항상 내 몸을 아끼지 않았다"라고 그간의 행적을 설명했다.
김 후보는 강원도에서 개원하고 있는 외과 전문의로 약 25년 동안 지역의사회에서 주요 임원을 거쳐, 강원특별자치도의사회장에 재선까지 한 인물이다. 지난 3월에는 의료현안 대응을 위한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아 50명에 달하는 비대위원을 아울렀다.
그는 "현재 의료대란을 풀기 위해서 출마를 결심했다"라며 "이 문제를 꼭 해결하겠다는 의지가 누구보다 강하다는 것을 넘어서서 절박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의 결정이 필요할 때 회장으로서 비판의 목소리가 있더라도 결단을 내리겠다"는 강단도 보였다.
이어 "전공의들은 미래가 보장되지 않아 자발적으로 사직서를 냈다"라며 "리더로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책임감이 있었고, 그래서 비대위원장까지 맡았다. 3개월 동안 노력했는데 이제 와서 보니 계엄령을 발표하는 대통령과 싸운 거였다"라며 허탈함을 표시했다.
김 후보는 '의료의 정상화, 김택우가 희망이다!'를 캐치프레이즈로 본격 선거운동에 돌입했다. 선거캠프에는 제42대 의협회장 선거에 출마한 경험을 갖고 있는 박명하 전 서울시의사회장과 박인숙 전 국회의원도 고문으로 합류해 김 후보에게 조언하고 있다.
김 후보는 ▲의료정책의 중추가 되는 의사협회 구축 ▲의사의, 의사에 의한, 의사를 위한 의협 ▲전공의 수련과 의대생 교육 정상화 등 크게 3가지 공약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의료정책연구원 기능 강화, 전공의 회무 참여 확대와 의대생 준회원 자격 부여 등을 내놨다.
젊은의사를 의협 회무에 참여시키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전공의 부회장제를 도입해 목소리를 내도록 하고 의대생도 유능한 친구들이 많으니 참여토록 해 목소리를 듣겠다"라며 "전공의 회무 참여 확대를 위해 회비 감면이나 감액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음은 김택우 후보와 가진 일문일답.
-후보만의 차별화된 공약은?
사실 공약은 모든 후보자들, 20~30년 전 후보자들이 냈던 공약과 비슷할 것이라고 본다. 대한의사협회에 대한 구조적인 문제와 대책이 대동소이하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잘 실행할 수 있었느냐를 고민해야 한다. 각 직역, 지역, 교수단체, 전공의 등 모든 사람들과 소통해서 하나의 결론을 도출한 다음 그 결과로 후속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 하향식 결정을 하고 따라오라고 해서 정책 등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고 본다. 소통을 통해 의견을 한곳으로 도출한 다음 일을 진행해야 한다.
-각기 다른 의료계 목소리를 하나로 모으기 위한 복안은?
지난 3월 의협 비대위원장 당시 대표성이 없어 다양한 직역의 목소리를 모아 하나의 결론을 도출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그동안 왜 한목소리를 내지 못했나라고 한다면 모든 직역을 아우르지 못했다가 1번이다. 충분히 논의하면 입장 차를 줄일 수 있다. 소통의 나의 장점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로 앞으로 의료계 대응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계엄령 내용을 보고 분노가 먼저 일었다. 처단이라는 단어를 보니 현 정부의 의료계를 보는 시각을 알 수 있었다. 어떤 상황에서도 전공의 보호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의료계를 정치에 이용하고 탄압하면 14만 의사는 뭉쳐 한목소리로 저항할 것이다. 사직 전공의를 반정부 국가 세력으로 보고 있다면 후보로서 당연히 그에 상응하는 입장을 취해야 한다.
계엄령을 선포했던 3일이 하나의 변곡점이 될 것이라고 본다. 느닷없는 계엄령 선포는 의대정원 2000명 증원을 느닷없이 발표했을 때와 비슷하다. 정권에 관계없이 정책이 추진되더라도 반대할 명분이 생겼다고 보고 있다. 2025년도 의대정원 모집 중지라는 당위성과 명분에서 충분히 정부에 요구할 수 있고 변화를 시킬 수 있다고 본다. 이후 의협의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 온다면 결단을 내릴 준비도 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