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HL 발암억제 메커니즘 규명

VHL 발암억제 메커니즘 규명

  • 조명덕 기자 mdcho@kma.org
  • 승인 2006.05.08 18:11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p53의 전사활성 증대 기능 첫 발견···암치료제 개발 타겟 설정 '기대'
윤홍덕 서울의대 교수팀, 'Molecular Cell' 5월 5일자 발표

 망막혈관종·신장암 등의 원인 유전자로 알려져 있는 VHL(von Hippel-Lindau) 종양억제 유전자의 발암억제 메커니즘이, 국내 의학자에 의해 분자 수준에서 규명돼 그 결과가 생물학 분야의 대표적 학술지인 'Cell'의 자매지 'Molecular Cell' 5월 5일자에 발표됐다.

윤홍덕 서울의대 교수(생화학·서울대 암연구소·사진)팀은 보건복지부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한 'VHL 단백질에 의한 p53의 안정화 및 전사활성 증가'에 관한 연구를 통해 VHL은 p53이라는 또 다른 종양억제 유전자를 활성화시켜 세포주기억제 및 세포사멸을 유도함으로써 종양을 억제할 수 있음을, 인간 신장암 세포주를 이용해 단백질 분자 수준에서  확인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정확하게 이해되고 있지 않던 VHL의 발암억제 근본 메커니즘을 분자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게 됐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 VHL의 결핍이나 돌연변이로 인한 암 치료제 개발의 정확한 타겟을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VHL이 p53 전사인자와 결합해 p53의 전사활성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처음 발견한 이 연구에 따르면 VHL은 p53의 아세틸화 및 인산화 증대를 통해 p53을 안정화시키는 한편 p53·ATM·p300과 거대한 복합체를 이루어 p53의 안정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그림 1).

또 VHL이 결핍된 신장암 세포주에 VHL을 주입할 경우 p53이 핵 속에 축적되는 사실을 확인했으며(그림 2), VHL은 p53의 전사 활성을 통해 세포사멸을 증대하고 세포주기를 억제함으로써 종양억제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을 증명했다.

▲  좌측 그림1) VHL에 의한 p53 전사활성에 대한 모델
    우측 그림2) VHL 유전자 삽입시 p53의 핵내 축적

 아울러 이 연구는 이미 알려진 VHL의 기능과 더불어 세포 사멸 및 성장을 동시에 조절하는 음양조절자로서의 기능도 제시했다.

한편 윤 교수는 "p53은 인간에게 발생하는 암에서 50% 이상의 원인 유전자이기 때문에, 이번 연구결과로 VHL이 신장암 이외의 다른 암의 원인 유전자로 작동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향후 다른 종류의 암에서도 VHL의 결핍이나 돌연변이가 발견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