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토린 부정한다면 모든 스타틴을 부정하는 것"

"바이토린 부정한다면 모든 스타틴을 부정하는 것"

  • 신범수 기자 shinbs@kma.org
  • 승인 2008.04.04 18:16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허승호 계명의대 교수 'ENHANCE 연구의 의미는?'

어젯밤 뉴욕증시는 오늘 아침 국내 주식시장을 뒤흔들지만 의학계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최소한 바이토린 스캔들은 그랬다.

지난해 11월부터 바이토린은 미국 의학계의 뜨거운 감자였지만 국내 전문가들은 입을 다물고 있었다. "논문을 보지 않고는 말할 수 없다"는 게 이유였는데 논문을 보지 못한 것은 미국 의사들도 마찬가지였다. '가족형 콜레스테롤 환자의 LDL-콜레스테롤을 낮추고도 경동맥 비후도(CIMT)는 줄지 않았다'는 한 줄 짜리 정보에 미국은 들끓었다.  바이토린 사용은 급감했고 관련 회사 주가도 동반 하락했다. 그렇게 4달이 흐른 후 ENHANCE라 불리는 이 연구의 최종 결과가 미심장학회에서 발표됐다. 논문이 공개된 만큼 국내에서도 비로소 토론과 의견표명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상황에서 미심장학회에 참석하고 귀국한 허승호 계명의대 교수(동산병원 심장내과)가 국내 전문가로서는 처음으로 이 연구에 대한 공식적인 의견을 표명했다. 바이토린의 국내 판매사인 한국MSD가 주선한 이 자리에서 그는 "ENHANCE 결과를 너무 '공격적'으로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는 의견을 보였다.

그의 말이 국내 전문가들의 의견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지만 처음으로 공개 의견을 밝힌 것인 만큼 그와의 인터뷰를 지면에 반영한다. 그리고 허 교수는 미심장학회가 공식 브리핑과는 별도로 마련한 'ENHANCE 연구자 모임'에 참석한 유일한 국내 전문가이기도 하다. 아래는 허 교수와의 인터뷰를 문답 형식으로 재정리한 것이다.

ENHANCE가 국내에서 이슈화되지 못했던 이유는 뭐라고 생각하나

일단 공식 발표를 기다린 측면도 있고, 대상 환자가 일반적인 고지혈증 환자가 아니기 때문이라고 본다. 내 경우도 가족형 콜레스테롤 환자는 전체 고지혈증 환자의 1%도 안된다. 때문에 그리 크게 생각하지 않았을 수 있다. 또 한 연구가 확립된 믿음을 흔들기 어렵다는 이유도 있다. ENHANCE는 분명 논란거리지만 LDL을 낮춰야 한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바이토린은 연구에서나 내 경험상으로도 분명히 LDL을 크게 낮춘다.

가족형으로만 논의를 집중한다 해도, 바이토린은 LDL을 떨어뜨리고도 왜 CIMT를 개선하지 못한 것인가

일단 가족형의 경우 어린 나이부터 고용량 스타틴으로 강력한 지질 관리를 받는다. 그래서 임상연구 참가 당시 환자들의 CIMT가 이미 낮은 상태였다. 약을 투여해도 큰 효과를 보기 힘들었다는 이야기다. ENHANCE와 비교 가능한 연구가 ASAP인데, ASAP의 경우 기본 CIMT가 ENHANCE보다 높았다. 그래서 CIMT 개선이 가능했던 것이다. 물론 이것은 하나의 가능성에 불과하다.

또한가지, ENHANCE 환자중 19%는 연구 참가 당시 스타틴을 먹지 않았는데 이들에 대한 세부분석에서는 CIMT가 개선됐다. 결국 너무 낮은 '베이스라인' CIMT가 원인일 수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 사설도 19% 환자군을 언급하고 있는데, CIMT가 개선되지 않았다고 했다. 정반대의 해석 같은데?

미심장학회에서 발표된 슬라이드를 보면 일단 절대적으로 낮춘 것으로 돼 있다. P-Value가 표시돼 있지 않아 통계적 의미성은 알 수 없다.

바이토린이 LDL을 크게 낮추긴 했지만 결과를 보면 2년간 치료 후 평균 LDL이 141mg/dL로 비교적 높았다. 이것 때문에 CIMT에 영향이 없던 것은 아닐까

그런 이야기도 있다. 그렇지만 가족형은 원래 LDL이 잘 안떨어진다. RADIANCE-1 연구에서도 아토르바스타틴 20∼80mg 복용에도 불구, 4년후 LDL은 오히려 올라갔다. 하지만 LDL이 70이 됐다고 과연 CIMT가 줄었을까. 이것은 여전히 알 수 없는 일이다.

바이토린이 HDL을 개선하지 못한 것은 어떻게 보나

그것이 원인일 수도 있다. 하지만 바이토린이 HDL을 올리는 약은 아니다.

미국심장학회도 그렇고 영국보건당국도 이 이슈를 가족형과 비가족형을 따로 나누어 바라보고 있지 않다. 이들은 일단 결론이 날 때까진 "에제티미브(바이토린에 포함된 성분)를 최후의 선택으로 놓자"는 분명한 의견을 피력했다. LDL을 낮추기 위한 대체제가 많은 상황에서 굳이 이 약을 쓸 필요가 있겠나

현장에서 느끼기에 LDL이 떨어지는데 이 증거를 무시할 수 없다. 치료에서의 유용성, 경험에 비추어 이번 연구 결과는 너무 부족한 자료다. 한 쪽 그룹에 300명짜리 연구에 불과하다. 3만명이라면 이야기가 다르다. 톨세트라핍이나 아반디아와 같이 안전성 문제라도 상황은 달라졌을 것이다.

그리고 곧 관련 학회들 차원에서 의견을 모으는 자리가 마련될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논의 결과를 더 봐야 한다고 본다. 그러는 동안 처방 패턴에 변화는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바이토린을 쓰면 LDL이 분명히 더 떨어지고 C-반응성 단백질이 감소한다. LDL과 C-반응성 단백질이 떨어진다면 심혈관계 질환이 감소한다는 것은 수많은 연구로 증명됐다.

이것을 '아니다'라고 한다면 모든 스타틴의 효과를 부정하는 것이다. 특수 집단의 결과가 확립된 증거를 능가할 수는 없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