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감염병 대응 위해 고도격리병상 필요"

"신종감염병 대응 위해 고도격리병상 필요"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17.07.24 17:48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다학제팀 및 격리병상의료진협의체 구성·운영 위한 정부 지원 뒤따라야
의료공공성 강화 심포지엄서 "감염병 대응 행정적 관리론 안돼" 지적 나와

최평균 서울의대 교수(감염내과)가 심종감염병 대응을 위해서는 시설만 갖춰서는 안되고 고도격리병상을 만들고 이를 운영할 수 있는 다학제팀을 반드시 구성해 운영할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종감염병에 제대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격리 시설만 갖출 것이 아니라 고도격리병상이 반드시 필요하고 감염내과 전문의와 중환자 전문의를 포함한 다학제팀 구성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 이를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신종감염병 대응에 대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최평균 서울의대 교수(서울대병원 감염내과)는 24일 오후 2시 서울의대와 서울대병원이 주최한 제2차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국가과제 심포지엄에서 이같이 밝혔다.

최 교수는 "신종감염병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신종감염병을 조기에 인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체계를 갖춰야 하며, 유행발생 대응(역학조사·감시·격리·접촉자 관리 등)과 위기소통을 잘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신종감염병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를 제공해야 한다"며 "환자 발생 규모, 질환의 중증도에 따른 대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특히 "신종감염병 환자 치료를 위해서는 대규모 의료 수요와 고도격리를 유지한 채 중환자치료에 대한 대비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2014년 에볼라 바이러스 질환,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발생을 경험하면서 고도격리치료시설의 중요성을 실감했다"고 말했다.

또 "메르스 사태가 발생할 당시 음압병실을 충분히 갖춰져 있었지만 공공병원 중심으로 시설이 갖춰지다보니 민간병원의 전문의료진과 교류가 잘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서울대병원에서 메르스 환자를 치료할 때 교수 17명, 전임의 15명, 전공의 26명이 진료에 참여하면서 다학제 대응팀이 운영됐고, 중환자 진료 경험이 풍부한 간호사 42명이 진료에 참여하면서 신종감염병에 대응을 잘 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따라서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고도격리병상을 설치하는 것 이외에 격리병상의료진협의체를 구성해 격리병상에 환자 배정이 행정적 결정이 아니고, 환자의 임상적 특성 및 최선의 치료 제공 가능성 등의 기준을 통해 결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오명돈 서울의대 교수(서울대병원 감염내과)는 현재 우리나라 방역 시스템으로는 신종 감염병 유입을 막을 수 없다고 꼬집었다.

오 교수는 메르스 사태를 경험하면서 "인천공항 등에 설치한 열감지 카메라로 메르스 국내 상륙을 찾아내지 못했고, 보건소는 관할지역의 의원·병원에서 메르스 환자가 있는지 알지 못한 것은 물론 질병관리본부는 메르스 첫 감염자가 국내에 들어온 사실을 인지하는데 15일나 걸렸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과거 선박시대의 방역시스템을 제트기 여행시대에 맞게 바꿔야 한다"며 "신종 감염병 유입 제1초소는 검역소가 아니라 의료기관 외래가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 교수는 "국가 방역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의료기관/의료인, 지역사회/시민의 역량 강화가 중요하며, 국가중앙병원의 신종감염병 치료 경험을 공유하고, 전문가를 지속적으로 키워내기 위해 교육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국가 방역의 패러다임은 행정 및 관리 중심에서 의료현장 및 임상 중심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희영 교수(분당서울대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는 "중증감염병에 대한 진료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한데, 평소에 이를 경험하기 힘들기 때문에 국내 소수의 케이스들을 의료진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교육을 받는다고 감염병 전문가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외국의 감염병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의료진을 파견해 신종감염병 등에 대한 교육이 자연스럽게 이뤄져 건강안보에 대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교수는 "경기도에서 시범적으로 3개 병원이 격리병상의료진협의체를 구성해 운영에 들어가는데, 신종감염병에 대해 행정적인 관리가 아니라 의료진 간 실질적인 협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

또 "서울대병원은 신종감염병에 대한 다학제 협진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를 모델화 시켜서 전국에 공유시켰으면 좋겠다"며 "신종감염병 진료에 대한 스탠다드를 제시해주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더불어 "보건소 차원에서의 역학조사는 문건 작성 등만 하고 있는 실정이고, 심지어 의료기관에 미루기까지 한다"며 "이런 일이 계속 벌어지는한 국가 방역체계는 뚫릴 수밖에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