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8 19:59 (일)
헌혈하면 극장표...'불법' vs '인센티브 있어야'

헌혈하면 극장표...'불법' vs '인센티브 있어야'

  • 이석영 기자 lsy@kma.org
  • 승인 2008.10.23 12:42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적십자 국감, 헌혈률 하락...참여 제고방안 각양각색

지난 한 해 동안 헌혈에 동참한 국민은 208만7762명. 전 국민의 4.3%가 헌혈했다.

이같은 국민헌혈률은 2003년 5.3%, 2004년 4.8%, 2005년 4.7%에 이어 2006년 4.7%로 매년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따라 혈액 재고량이 부족해 24일 현재 대한적십자사가 비축하고 있는 재고량은 적혈구 농축액의 경우 B형만 적정보유량을 간신히 넘겼을 뿐, O형의 경우 3.1일분(4233유닛)만 보유하고 있어 8316유닛이 부족한 형편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헌혈률을 끌어올리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헌혈을 하면 상품권 등 일정 혜택을 주는 방식. 최근 들어 젊은층의 헌혈을 유도하기 위해 영화 예매권을 주는 혈액원이 늘고 있으며 심지어 햄버거 시식권을 주는 곳도 있다.

그러나 이같은 기념품을 주는 행위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이 적지 않다.

민주노동당 곽정숙 의원은 23일 대한적십자사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기념품을 주는 행위는 금전·재산상의 대가를 받고 헌혈하는 행위를 금지한 현행 혈액관리법에 위반된다"면서 "무엇보다 헌혈이 사람을 살리기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봉사가 아니라, 당연히 대가가 있는 행위로 인식키켜 헌혈문화를 왜곡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인센티브는 필요악...더 좋은걸 줘야"

이같은 '기념품 해악론'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않다. 불안한 혈액수급 상황을 눈 앞에 두고 너무 태평스런 주장이라는 것.

8월 기준으로 헌혈자 직업별 통계를 살펴보면 대학생이 27.4%로 1위를 차지하고 이어 고교생(19.4%), 군인(18.9%), 회사원(18.3%) 순을 보이고 있다. 20~30대 젊은층이 우리나라 혈액수급의 운명을 쥐고 있는 만큼, 그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센티브 방식을 외면할 수 없다는 것이다.

민주당 양승조 의원은 "등록헌혈회원 수는 증가하고 있으나 1인단 헌혈횟수는 오히려 점점 줄어들고 있다"면서 제도적 방안 만으로는 헌혈율을 높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양 의원은 훈장·포상을 하는 방법이나 헌혈홍보대사로 위촉하는 방법, 일정 횟수 이상 헌혈하면 특정질병에 대한 검진을 지원하는 방안, 헌혈 후 질병이 발견되면 건강상담이나 치료를 연계하는 방법 등을 제시했다.

"한 번 헌혈했던 사람, 단골로 잡아야"

헌혈을 하기 위해 스스로 혈액원을 찾아갔다가 '헌혈 할 수 없다'는 판정을 받고 발길을 돌리는 경우가 있다.

약을 복용 중이거나 특정 질병에 걸린 경우, 음주, 피로 등이 헌혈 부적합 사유다. 이렇게 헌혈부적격 판정을 받고 헌혈을 하지 못한 사람은 2005년 이후 2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전현희 의원이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05년 부터 올 8월까지 부적격 판정을 받은 사람은 전체 헌혈자 1017만명 중 21.5%에 달하는 218만명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부적격률은 혈액안전관리가 강화됨에 따라 2004년 20.1%에서 2005년 21%, 2006년 22.1%, 2007년 22.5%로 매년 높아지고 있다.

문제는 단순한 피로, 수면부족, 공복, 생리중 같은 '사소한' 사유도 모두 부적격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
전 의원에 따르면 부적격 사유 중 수면부족은 2.0%, 기간미달 4.3%, 수면부족 2.0%, 감기 1.0%, 귀뚫음 1.0%, 공복 0.8%, 피로 0.8%, 생리중 0.7% 등 나중에 얼마든지 헌혈을 해도 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전 의원은 "원천적으로 헌혈이 불가능한 저체중, 고혈압 등을 뺀 나머지 경우는 나중에라도 헌혈에 동참할 수 있도록하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 신상진 의원도 "한번 헌혈에 참여하면 헌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많이 사라진다'면서 "첫 헌혈자를 '단골'로 잡는 유도정책을 적극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