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8 19:59 (일)
"치매환자 52만명...제대로 된 치료는 20%도 못받아"

"치매환자 52만명...제대로 된 치료는 20%도 못받아"

  • 이석영 기자 lsy@doctorsnews.co.kr
  • 승인 2013.03.19 11:49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기증상 건강보험 적용 제외....노인신경의학회 "예방, 조기치료 중요"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치매환자도 크게 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08∼2012년까지 4년 동안 노인인구는 약 500만 명에서 580만 명으로 17% 늘어났고, 이 가운데 치매 환자 수는 42만 명에서 53만 명으로 26.4%나 증가했다.

치매 환자는 특성상 24시간 보호자의 간병을 받아야 하므로 환자 가족의 경제적·육체적·정신적 고통이 매우 심각하다.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예방 및 조기 발견,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치매 환자 중 제대로 된 의료적 조치를 받고 있는 환자는 매우 적은 형편이다. 노인신경의학회에 따르면 전체 치매 환자 가운데 제도권 내에서 치료 받고 있는 환자는 20%도 채 안 된다. 나머지 환자들은 그대로 방치된 채 증상을 키우고 있는 것이다.

▲이광우 대한노인신경의학회 회장

이광우 노인신경과학회장(서울의대)은 "현재 치매의 초기 증상에는 치료약이 건강보험 적용을 받지 못해 비싼 약값을 고스란히 환자가 부담해야 한다"며 "치매는 초기 단계부터 적절한 치료를 통해 진행을 늦추는 것이 중요하지만 제도적 지원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땜질식' 처방 보다 장기적인 정책 수립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치매환자는 연령이 5세 증가할 때마다 두 배씩 늘어난다. 다시 말해 초기에 적절히 대응하면 환자 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것"이라며 "치매 발생까지 평균 20년이 소요되므로 40대 중반부터는 치매 관리에 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치매 등 노인질환에 대해 새 정부가 복지정책과 의료정책의 균형을 맞춰줄 것을 주문했다. 이 회장은 "복지는 투자 즉시 효과가 나타나 정부로선 '달콤한' 측면이 있으나, 너무 복지에만 초점을 맞추면 노인병의 증가추세를 막을 수 없다"면서 "의료정책은 곧장 드러나는 효과는 없으나 장기적으로 볼 때 훨씬 더 재정적 효과가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지금 당장 치매 환자·보호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것도 필요하지만, 환자 수를 줄여나가기 위한 10년, 20년 앞을 내다보는 정책 수립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2009년 설립된 노인신경의학회는 뇌졸중·치매·파킨슨병·말초신경병증 등 노인신경계 질환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이들 질환과 관련된 정부의 보건의료 정책 수립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매년 춘·추계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최근 노인환자의 간병 기준이 담긴 '간병지침서'를 발간하기도 했다.

오는 31일(일) 밀레니엄 서울힐튼호텔에서 열리는 춘계학술대회에서는 노인당뇨병·노인고혈압의 최신 지견과 신경과 개원, 보호자 없는 병원 등 성공적인 병원 운영을 위한 경영강좌, 뇌졸중 진료지침 개정 내용에 대한 소개 등이 있을 예정이다. 특히 신포괄수가제 시범사업, 대한의사협회의 연명치료 중단 지침, 노인 보건정책의 현황 등 정책 소개 세션도 마련됐다(문의 ☎02-720-3982).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