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5-04-05 11:04 (토)
의대증원 미결정 의대 8곳에 '시정명령' 내릴까?

의대증원 미결정 의대 8곳에 '시정명령' 내릴까?

  • 홍완기 기자 wangi0602@doctorsnews.co.kr
  • 승인 2024.05.29 06:00
  • 댓글 7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부결' 소식에 압박 더한 정부, 모집 요강 발표 직전 단속 양상
제주대·전북대 재심의 끝 통과…'부결' 경상국립대·경북대
의료계, 학칙·수시 모집요강 '보류' 요청 등 고군분투

ⓒ의협신문
ⓒ의협신문

2025학년도 대입 모집 요강 공고일이 2일 앞으로 다가왔다. 의대 증원을 위한 학칙 개정 결정을 하지 않은 대학교가 8곳으로 집계된 가운데, 교육부가 이달 개정을 미완료한 대학에 '시정명령'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교육부의 행정명령 압박은 이달 초에도 있었는데 일부 대학의 학칙 개정 '부결' 소식이 최근까지도 전해지자, 다급히 단속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에 따르면, 27일 기준으로 의대 증원 학칙개정을 완료한 대학은 총 21곳. 심의를 통해 개정을 통과시킨 대학까지 더하면 24곳이다. 

앞서 심의 '부결' 소식을 전했던 제주대와 전북대는 27일 재심의를 통해 결국 학칙 개정을 결정했다.

제주대 교수평의회와 대학평의원회는 27일 제주대 본관 3층 회의실에서 학칙 개정안을 재심의, 학칙을 가결했다.

이번 가결에 따라, 제주의대는 현 입학 정원인 40명에서 100명으로 정원을 확대했다. 2025학년도에 한해선 전체 증원분 60명의 50%를 반영, 70명을 선발한다.

전북대 역시 27일 대학평의원회에서 학칙 개정안을 가결시켰다. 전북의대 입학 정원은 현재 인원인 142명에서 200명으로 늘어나게 됐다. 전북의대도 2025학년도에 한해 증원분 50%만을 반영, 내년엔 171명의 신입생을 뽑는다.

아직 결정 보류 상태인 대학은 경북대·경상국립대·충남대·가천대·가톨릭관동대·성균관대·순천향대·연세대 미래(원주) 8곳이다.

이중 경북대와 경상국립대는 최근 학칙 개정 '부결' 소식을 전했다.

경상국립대는 지난 22일 교수대의원회와 대학평의원회에서 부결을 결정했다. 오는 29일 학칙 개정 재심의 진행 계획을 밝혔지만, 결과는 알 수 없는 상황이다.

경북대는 16일과 23일 평의회에서 진행한 학칙 개정 투표에서 모두 '부결' 결론이 났다.

각 대학 입시모집 요강 발표일은 31일로 단 2일 남겨둔 상태. 부결 소식을 전한 경상국립대·경북대를 포함해 8곳에서 최종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교육부는 27일 브리핑에서 오는 31일 각 대학이 모집 요강을 공표한 뒤 행정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달 초 각 대학 의대 증원 교칙 미개정에 대한 시행명령조치를 예고했었는데, 최근까지 '부결'소식이 들려오자 '행정 조치'를 다시 입에 올리며 단속에 나선 것이다.

심민철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은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따르면 의사·교사 양성 등과 관련한 입학 정원은 교육부 장관이 정하는 대로 따라야 한다고 돼 있다"며 "오는 31일 이후 6월 초에도 학칙개정이 완료되지 않은 곳이 있다면 시정명령을 내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의료계는 학칙·수시 모집요강 '보류' 등 마지막 보루 사수를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다.

대한의사협회는 지난 23일 각 대학 총장에 "아직 우리나라 의료를 제자리로 돌릴 수 있는 마지막 열쇠를 총장들께서 쥐고 있다. 학생들과 나라의 미래를 위해 고뇌한 교수들의 부결 결정을 뒤집지 말아달라"고 호소했다.

27일 전국의대교수들과 공동으로 진행한 긴급 기자회견에서는 입시 요강 발표 보류를 요청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은 기자회견 중 성명서를 내고 32개 대학 총장들에 "관련 법원 결정이 나오기 전까지 대학 입시요강 발표를 중지해달라"면서 사법부에도 "의학교육현장 붕괴를 막을 수 있도록 정부에 '대법원 최종 결정 전까지 입시요강 발표 등의 행정 절차를 중지하고, 대법원 재판에 즉시 협조하라'는 '소송지휘권'을 발동해달라"고 촉구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지난 24일 제2차 대학입학전형위원회를 열고, 내년 의대 모집정원을 4567명으로 변경하는 2025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 변경사항을 승인했다. 

대교협은 오는 30일 대학별 의대 모집 인원, 수시·정시와 지역인재전형 선발비율 등 세부 사항을 발표할 계획이다. 각 대학들은 오는 31일까지 수시 모집요강을 각각 발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7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ㅇ○ (비회원) 2024-05-31 08:51:08 IP (106.102.x.x)
윤두광
0 / 400
온전한○○ (비회원) 2024-05-31 00:41:22 IP (119.148.x.x)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의료의 질을 개선해 달라는 국민요구에
의사들의 개체수를 늘리는 정책으로 화답했어.

이유는 정부가 의사들에게도 가산소득에 비례한 건강보험료를 강제징수하고 있기 때문이지.

치과병원 1개소당 한 달에
최소 700만원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0 / 400
온전한○○ (비회원) 2024-05-31 00:40:41 IP (119.148.x.x)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의료의 질을 개선해 달라는 국민요구에
의사들의 개체수를 늘리는 정책으로 화답했어.

이유는 정부가 의사들에게도 가산소득에 비례한 건강보험료를 강제징수하고 있기 때문이지.

치과병원 1개소당 한 달에
최소 700만원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0 / 400
윤진○ (ma**) 2024-05-29 11:36:59 IP (122.34.x.x)
미군정령은 하위법이라, 상위법 우선의 원칙으로,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한국영토에 주권.자격.학벌이 없어왔음. 조선.대한제국에는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으로 성균관 하나밖에 없던 나라였음.

https://blog.naver.com/macmaca/223424093319
0 / 400
윤진○ (ma**) 2024-05-29 11:36:23 IP (122.34.x.x)
Monkey). 그 뒤 새로생긴 일제강점기 초급대 출신대나 기타의 비신분제 대학들.헌법 임시정부 정통성, 국제법, 한국사, 세계사 및 여러 교과들의 이론은 거의 바뀌지 않을것입니다.헌법이나, 국제법, 한국사, 세계사의 자격은 대중언론.입시지의 준동을 아랑곳 하지 않는 특질을 가졌습니다.대중언론에서, 주권.학벌없이 한국영토에 남아, 발호하는 패전국 奴隸 왜구 서울대와 추종세력들! 한국의 모든 대학들은 국사 성균관 자격 성균관대와, 세계사의 교황반영 교황윤허 서강대 제외하고는, 아직까지 대중언론.입시지에서 왜구 서울대를 극복하지 못하는 형태로 형성되었고, 지금까지 그렇게 이어져 왔습니다.@해방당시 미군정부터, 상위법은 승전국 국가원수들이 모여 발표한 포츠담선언(카이로선언 포함)이 국제법으로 상위법 역할을 하고,
0 / 400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