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당뇨병 환자 자살 위험 높은 이유?

가난한 당뇨병 환자 자살 위험 높은 이유?

  • 이영재 기자 garden@kma.org
  • 승인 2024.10.08 12:37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장 생활 어려움·실직·경력단절 속 저소득 상태 오래 지속 '악영향'
경제적 어려움뿐 아니라 정신건강 문제 살펴야…실질적 지원책 필요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환자 사회·경제적 처지 따른 자살 관련성' 분석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당뇨병 환자의 자살 위험이 높아 사회적인 관심과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당뇨병을 앓는 저소득층의 자살 위험은 당뇨병이 없는 고소득층보다 4.3배 높았다.

대한당뇨병학회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기반으로 '당뇨병 환자의 사회경제적 처지에 따른 자살 관련성'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이 분석은 2012∼2022년에 국가 건강검진을 받은 30∼64세 343만 9170명이 낸 총 건강보험료(총 1∼20분위)를 4분위로 나눠 소득에 따른 자살 관련성을 살펴보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분석 결과, 당뇨병 발병 여부와 관계없이 소득이 낮을수록, 당뇨병이 없는 경우보다 당뇨병이 있는 경우 자살률이 더 높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소득수준이 가장 높은 4분위의 경우 비당뇨인보다 당뇨병 환자의 자살 위험성이 1.25배 높았으며,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자살 위험성은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당뇨병이 있는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경우 당뇨병이 없는 고소득층보다 자살 위험성이 4.3배 높았다.

저소득 상태가 오랜 지속되면 자살 위험은 더욱 높았다. 연구기간동안 하위 25% 저소득층에 속한 연속 횟수가 5회인 경우의 자살 위험은 저소득층에 속하지 않은 비당뇨인의 2배에 달했다.

소득수준의 잦은 변화도 자살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이었다.

소득의 변화 정도를 4단계로 구분했을 때, 소득 변동성이 가장 낮은 그룹(Q1)의 자살 위험성은 당뇨병이 없는 수진자에 비해 1.21배 높았지만, 소득 변화가 가장 큰 그룹(Q4)에서는 위험성이 1.89배로 상승했다.

당뇨병 환자만 분석했을 때도 소득수준에 따라 자살 위험성이 높아지는 연관성은 뚜렷했다.

소득수준이 가장 높은 4분위 당뇨병 환자에 대비한 의료급여 환자의 자살 위험성은 3.48배나 됐다. 또 10년 연속 하위 25% 저소득층에 속한 당뇨병 환자는 지속적인 저소득 경험이 없는 환자보다 자살 위험성이 1.56배 높게 나타났다.

차봉수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연세의대 교수·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은 "당뇨병 환자의 장기간 투병 생활은 직장 생활의 어려움, 실직, 경력단절 등 경제적 빈곤을 초래할 수 있다"라면서 "저소득으로 인한 개인의 우울증은 가정 불화나 가족의 유대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자살로 이어지곤 한다"고 설명했다.

생활고 등으로 자살 위험이 높아질 수 있는 당뇨병 환자를 조기에 선별해 지원책을 펴는 등의 정책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차봉수 이사장은 "당뇨병 환자는 나이가 들면서 합병증 등으로 의료비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라면서 "정부가 당뇨병 환자의 경제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이들이 겪는 정신건강 문제도 세심히 살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한당뇨병학회는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와 오는 12월 1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급증하고 있는 국내 당뇨병 환자 현황과 지원정책 ▲GLP-1 계열 주사제 등을 주제로 공동 심포지엄을 연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