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공보의 아닌 장기적 양성 체계 주문
"정부·대학이 역학조사관 교육 체계 운영해야"

새정치민주연합 인재근 의원(민주주의와 복지국가 연구회 대표)은 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감염병 위기대응 인재양성체계 토론회를 열며 "올 해 가장 큰 반향을 불러온 사안은 메르스 사태였다. 인재(人災)는 인재(人材)로 바로잡아야 한다. 많은 전문가들이 감염병 전문 인력 부족을 지적했던 만큼 인재 양성을 통해 보건안보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류호영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 원장 역시 "지난 9월 정부가 신종감염병 대응을 위한 국가방역체계 개편 방안을 마련하며 특수직렬 방역직을 신설하고 우수한 역학조사관을 양성할 계획인 만큼 이에 걸맞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탁 수석역학조사관에 따르면 CDC 역학조사관에게는 보건의료 지식과 분석력뿐 아니라 다문화적 접근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리더십 등이 함께 요구된다. 탁 수석역학조사관은 "CDC 역학조사관 양성 프로그램(EIS)은 다제학적 접근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실제로 위기나 원인 불명의 질환이 발생하면 서로 다른 분야를 다루는 역학전문가끼리 팀을 구성한다. 여러 방면에서 조사할 수 있어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CDC에서 현장 역학조사를 할 때 활용하는 매뉴얼을 제시하며 "현장에서는 가설을 세워 계속 질문하고, 이것을 검증해나감으로써 예방이나 대응의 단초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현장 역학조사 교육 프로그램 수립 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개인의 역량을 반영한 커리큘럼을 갖출 것과 역학조사관의 역할을 제대로 이해하는 교수진이 교육할 것을 강조했다.
이어 "공중보건의는 장기간 근무하지 못하기 때문에 노하우 축적이나 전문성 향상에 어려움이 따른다. 현 정부 계획처럼 질병·역학 조사를 담당하던 공무원을 역학조사관으로 채용하면 근무 지속성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겠지만, 공중보건의에 필적하는 전문성을 갖고 있을지 여부는 장담할 수 없다"며 정부 정책에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이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인력 충원보다 장기적인 인력 양성 체계를 마련해 미국처럼 양질의 조사관을 뽑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한 홍 과장은 "건국대에서 집단폐렴이 발생했을 때에도 민관협력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했다"며 "정부와 대학이 역학조사관 교육 협력체계를 운영한다면 그 자체가 인재 양성의 기회이자 양성된 전문 인력들이 활동하는 장이 될 것"이라며 정부와 대학 간 협력 체계 운영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