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대비 질보정 생존연수 서구보다 현저히 낮아
건보공단 빅데이터 활용한 검진효과성 제고 필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시행하는 유방암 국가암검진의 비용효과성 문제가 지적됐다.
위암, 대장암 등과 함께 5대암으로 지정되며 암검진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그 비용효과성이 다른 암보다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것이다.
박은철 연세의대 교수는 2일 '암극복 평생건강 실현을 위한 공동 심포지엄'에서 국가암검진의 비용효과성 분석을 제시했다.
환자가 건강한 상태로 1년간 생명을 연장하는 데 쓰이는 비용을 계산하는 QALY(질보정 생존연수)를 기준으로 위암과 유방암, 자궁경부암 등을 비교했다.
그 결과, 위내시경을 통한 암검진의 비용효과성은 990만원, 위장조영촬영으로 발견한 위암은 1743만원으로 비교적 낮았다. 자궁경부암은 600만원인 반면 유방암은 3368만원으로 높았다.
박 교수는 "문제는 유방암"이라며 "한국은 3368만원, 중국 6400만원이며 일본은 1억 1430만원으로 높다. 반면 영국은 280만원으로 굉장히 작다며 특히 우리나라도 과거에는 일본처럼 1억원이 넘었다. 그러나 검진 퀄리티가 좋아지면서 이 숫자도 연도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했다.
눈여겨볼 점은 동양에서 이같은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
박 교수는 나라별 물가 등을 반영하기 위해 QALY를 1인당 국가 GDP로 나눈 통계를 제시했다. 그 값이 1이면 연간 생존비용이 연간 GDP와 동일하며, 1보다 낮을수록 비용효과적이다. 1보다 높으면 생존비용이 그만큼 더 많이 들어가, 결국 비용효과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박 교수는 "일본을 제외한 동양권에서는 유방암 검진이 비용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검진에 활용되는 유방촬영술이 동양여성에겐 정답이 아닐 수 있다는 의구심이 든다"라고 비판했다.
5년 생존률에 대해서도 "위암의 경우 매년 생존률이 2%씩 올라가며 검진률 증가와 생존률 증가는 분명 연관이 있으나 유방암의 경우 잘 맞지 않는 듯하다. 그만큼 유방암은 암검진 효과가 매우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김열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본부 부장은 "최근 유방암검진의 비용효과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라며 "1984년 미국에서 50세 이상 여성에게 유방암검진을 받을 것을 권고하자 유방암환자가 급증했는데, 진행성 유방암 감소는 7%밖에 줄지 않았고, 조기유방암은 200% 늘어났다"라는 결과를 제시했다.
이어 "암검진은 모르고 지나가면 늦게 발견됐을 것을 빨리 발견토록 하는 것인데, 그 효과는 7%밖에 되지 않은 것이다. 과진단이 아니냐는 분석이 있었다"라며 이를 뒷받침했다.
이같은 지적에 노동영 대한암학회 이사장은 "동양 여성에겐 치밀유방이 많아 암검진에 사용되는 유방촬영술만으로는 진단이 어렵다. 초음파검사를 겸해야 한다"라며 "우리나라는 미국, 캐나다, 일본보다 5년 생존률이 굉장히 높다"라며 반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또 "암검진을 시작한 이후로는 현저하게 초기암 발견 비율이 많다"며 유방암검진의 필요성을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