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심부전 환자 2년 사망률 30% 육박

급성심부전 환자 2년 사망률 30% 육박

  • 박소영 기자 syp8038@daum.net
  • 승인 2017.06.19 12:00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헐성심질환이 원인질환 30% 차지
퇴원 후 1년 이내에 23% 환자 재입원

 

급성심부전 환자의 2년 사망률이 30%에 이를 정도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향후 유병률도 높아질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보다 적극적인 환자관리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9일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의 급성심부전레지스트리 연구진에 따르면, 급성심부전으로 입원한 환자의 병원 내 사망률은 4.8%이고, 퇴원 후 6개월, 1년, 2년 사망률은 각각 12.4%, 18.2%, 27.6%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전국 10개 대학병원의 환자 5600여명을 급성신부전환자 레지스트리 대상으로 삼고 2년간 추적관찰했다. 그 결과, 급성심부전의 원인질환으로는 허혈성심장질환이 37.6%로 가장 많았으며, 심근병(20.6%), 판막질환(14.3%), 부정맥(10.6%)순이었다.

심부전을 악화시킨 주요 요인은 심근허혈(26.3%), 빈맥(20.4%)과 감염(19.6%) 등이었다. 특히 입원 시 급성신장기능부전을 동반한 경우 사망위험이 13배 높았고 저혈압, 저나트륨혈증을 보인 경우 약 2배 높았다. 반면 베타차단제를 투여한 경우는 사망위험이 35% 낮았다.

아울러 퇴원 후 한 달 이내 7%의 환자들이 다시 입원했고, 1년 이내 23%가 재입원했다.

질본은 국내 심부전 유병률이 2013년 1.53%로 2002년 0.75%에 비해 약 2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2040년도 유병률은 3.35% 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연령에 따라 심부전 유병률은 빠르게 증가해 국내 40∼59세의 심부전 유병률은 0.8%이지만, 60∼79세에서는 4.3%, 80세 이상에서는 9.5%로 10% 가까운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질본은 "급성심부전환자의 사망률 감소를 위해 심부전 치료의 표준화와 재입원으로 인한 의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적극적 환자관리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심부전환자 관리와 치료지침 개발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