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병원 지정 병원 의료분쟁 발생률 60%"

"전문병원 지정 병원 의료분쟁 발생률 60%"

  • 이승우 기자 potato73@doctorsnews.co.kr
  • 승인 2017.10.26 12:38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5년간 의료분쟁 총 512건 발생...사망 관련 80건
기동민 의원, 지정 시스템 개선· 사후관리 강화 주문

▲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보건복지부로부터 전문병원으로 지정받은 병원들의 의료분쟁 발생률이 6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2012~2014년 전문병원 1기 때보다 2015~2017년 2기 때 분쟁 건수 및 분쟁발생 기관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했다.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보건복지위원회)이 보건복지부와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에서 제출받은 전문병원 의료분쟁 현황자료에 따르면 2012~2017년(8월 현재) 전문병원에서 발생한 의료분쟁은 총 512건(사망 80건)이었다.

의료분쟁 건수는 1기(227건) 때보다 2기(285건) 때 26%가량 늘었고, 발생 병원은 1기 61곳(지정 병원의 62%), 2기 76곳(68%)으로 늘었다. 전문병원 지정 기간 동안 매년 분쟁이 발생한 곳은 1기 11곳(11%)에서 2기 22곳(20%)으로 역시 크게 늘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011년 말 전문병원 제도를 도입했다. 국민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대형병원으로의 환자쏠림을 막겠다는 취지였다. 1기, 2기 각각 99개, 111개 병원이 선정됐다. 지정된 곳은 '전문'이란 명칭을 사용할 수 있고, 지정기관 이외의 병원은 간판 제작 및 병원 홍보 시 이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다. 2016년부터는 전문병원관리료, 전문병원문 의료 질 향상 지원금 등 재정 지원도 제공하고 있다.

2012~17년 분쟁을 지정 분야별로 살펴보면 관절이 186건으로 전체 512건의 36%를 차지했다. 척추가 120건(23%)으로 뒤를 이었다. 다음은 산부인과(51건), 정형외과(24건), 수지접합(18건) 순이었다.

특히 사망 사건의 경우 80건 중 관절이 29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척추(11건), 산부인과(7건), 뇌혈관(6건), 화상·정형외과(각 5건) 등 순이었다.

가장 많은 분쟁이 발생한 곳은 한 관절전문병원이었다. 총 27건의 분쟁신고가 접수됐고, 이중 환자 사망으로 인한 것이 9건에 달했다. 무릎관절수술 후 급성심근경색으로 인한 사망, 골절수술 중 증상이 악화해 치료 중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 고관절 무혈성 괴사로 인공관절 치환술 시행 후 횡문근융해증(근육이 녹는 병)으로 사망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다른 병원들의 경우 대장암을 만성염증 및 변비로 오진, 대장암 말기를 단순 치질로 오진, 주삿바늘 장시간 교체 지연으로 감염 및 합병증 발생, 복통으로 관장 후 장 파열이 일어나 입원치료 중 사망, 허리통증으로 입원해 진통제를 맞은 후 사망 등으로 인한 분쟁 같은 사례 등이 있었다.

전문병원 의료분쟁 신청 건 중 49%에 달하는 249건은 분쟁조정 절차를 개시하지 못했다.

이와 관련 기동민 의원은 "'전문병원' 명칭을 믿고 찾은 환자 입장에서는 의료사고를 의심할만한 일이 일어난 것도 모자라, 제대로 된 조정 기회도 얻지 못한 경우가 다수 발생한 것이다. 개시된 262건 중 조정 성립 및 합의 건수는 152건으로 개시 건수의 58% 수준이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물론 전문병원이 비교적 전문적이고, 난이도 높은 의료행위를 많이 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면서도 "분쟁이 전반적으로 늘고 있고, 관련 내용 등을 파악해 선정 취소 등 적절한 관리감독을 해야 할 보건복지부가 이를 소홀히 했다는 점 등은 짚어봐야 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 정부에서 추진된 전문병원 제도는 국민 건강과 중소병원을 위한다는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평가 기준의 불완전성과 사후관리 미흡으로 빈틈을 노출했다"며 "3기부터는 이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지 않도록 제대로 된 시스템 정립이 중요하다"고 주문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2012년 1기 전문병원을 선정할 때 절대평가 기준으로 환자구성비율, 진료량, 의료인력, 병상 수 등을 삼았고, 상대평가 기준으로도 총 전문의 1인당 입원환자 수, 환자구성비율, 진료량 등 정량 요소만을 적용했다.

2기 선정 시에는 환자 재원일수, 합병증 발생률, 재수술률, 재입원율, 치료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의료 질 평가를 새롭게 도입했다. 하지만 일부에 그쳤다는 지적이 일었다.

기 의원은 "'얼마나 제대로 된 진료를 하고 있는지', '의료분쟁 등 사고는 얼마나 발생했는지' 등은 검토 대상이 아니었다. 2기 지정 시에도 관절, 뇌혈관, 대장항문, 심장, 유방, 산부인과 등 10개 분야에는 이를 적용하지 않았다"면서 "이 분야는 의료분쟁 발생 비중이 컸던 분야다. 사후관리에도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 병원들의 의료사고 발생 등 각종 진료에 대한 현황을 주기적으로 검토하는 등의 관리·감독이 필요했지만, 현장조사는 물론 지정 취소도 전무했다"고 꼬집었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지적에 심사 중인 제3기 전문병원부터는 의료 질 평가를 전 분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고, 현재 선정 취소를 위한 법적 근거가 없어 이를 정비하는 의료법 개정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