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협회, ISO 37001 효과 분석·전망 보고서 발표
인증 1년 후부터 가시적 효과...3년 후엔 기업문화 정착
제약산업계가 기업 윤리를 국제표준으로 격상시키기 위해 도입한 ISO 37001(반부패경영시스템)이 기업문화로 정착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30일 'ISO 37001 도입효과 분석 및 전망 보고서'를 통해 "ISO 37001은 최종인증으로 모든 절차가 완료되는 게 아니라 정기적 사후관리를 통해 윤리경영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있다"면서 "인증받은 기업체는 최초 인증 이후 1년마다 사후 심사를 수행해야 인증을 유지할 수 있고, 3년 이내 기존 부패방지경영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재점검하는 심사를 거쳐야만 갱신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제약바이오협회는 ISO 37001 도입으로 제약산업계에 기업윤리의 필요성이 재인식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ISO 37001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선도적 윤리경영그룹이 나타나 시장에서 신뢰를 받고, 특히 글로벌기업과 코프로모션·기술수출·공동연구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ISO 37001 도입·인증을 적극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것.
보고서는 특히 윤리경영이 기업문화로 정착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ISO 37001은 반부패경영시스템의 실행 및 준수에 대한 책임을 대표이사에게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최고경영진의 관심과 의지가 매우 높을 수밖에 없다. 직원들도 직접 소속부서의 리스크를 분석·평가·관리 경험을 통해 윤리경영의 중요성을 체감할 수 있어 준법의지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제약바이오협회는 보고서를 통해 "ISO 37001은 영업·마케팅뿐만 아니라 전체 부서 및 임직원 개개인의 직무수행 전반에 걸쳐 적용돼 시간이 지나면서 기업문화로 뿌리내릴 수 있다"면서 "정부 기관 역시 부패방지 시책의 일환으로 ISO 37001 인증을 획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공직사회의 이같은 변화는 ISO 37001 인증기업에 대한 우호적 시각을 형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보고서는 윤리경영 정착을 위해 ISO 37001 인증을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는 입증자료로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뿐만 아니라 기업의 공정경쟁문화를 확산하고 시장의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약가인하나 급여정지와 같은 사후 징벌적 제도를 강화·확대하기보다는 사전 예방 차원 정책으로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제약업계는 인증 절차를 고려할 때 인증 1년 이후부터 가시적 효과가, 3년 이후에는 기업 윤리경영을 내재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제약바이오협회는 ISO 37001을 도입키로 한 55개사 중 최초인증을 받은 제약기업은 30일 현재 1차 기업군 9개사(GC녹십자·대웅제약·대원제약·동아ST·일동제약·유한양행·JW중외제약·한미약품·코오롱제약), 2차 기업군 6개사(동구바이오·명인제약·안국약품·종근당·휴온스·보령제약), 3차 기업군 2개사(엠지·영진약품) 등 17곳이다. 나머지 기업들도 추진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증을 완료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