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남은 시간은 많지 않다"

"우리에게 남은 시간은 많지 않다"

  • 이영재 기자 garden@kma.org
  • 승인 2019.06.05 05:53
  • 댓글 1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차 산업혁명과 제약산업의 미래' 국회 정책토론회
첨단 기술·빅데이터·연구 규제 개선…AI 전문가 양성 관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래형 신산업으로 자리매김한 제약바이오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첨단기술에 대한 규제 완화, 전문인력 양성, 국가·산업간 협업 생태계 조성이 절실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더불어민주당 오제세 의원·자유한국당 김세연 의원은 4일 국회에서 '4차 산업혁명과 제약산업의 미래' 정책토론회를 열고 제약바이오산업의 발전적인 미래를 가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오제세 의원(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 김세연 의원(자유한국당)은 4일 국회에서 '4차 산업혁명과 제약산업의 미래' 정책토론회를 열고 제약바이오산업의 발전적인 미래를 가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오제세 의원(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 김세연 의원(자유한국당)은 4일 국회에서 '4차 산업혁명과 제약산업의 미래' 정책토론회를 열고 제약바이오산업의 발전적인 미래를 가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대한민국의 미래, 제약산업에서 길을 찾다' 주제의 기조강연을 통해 ▲'원칙적 허용·예외적 금지'를 기본으로 한 연구규제 방식 전환 ▲기술실용화 기간 단축 ▲첨단 기술 인재양성 전문교육기관 설치 ▲국가-산업간 협업 생태계 조성 ▲빅데이터 첨단정보에 비식별 개인정보 활용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4차 산업혁명 첨단기술과 제약바이오산업의 융합에 대한 세계적 경향도 소개했다.

원 회장은 "세계 제약산업계는 리모델링에 들어갔다. 전통적 제약기업 외에도 구글·IBM·마이크로소프트 등 데이터 기반 기업들이 제약산업에 진출하고 있다"며 "다양한 융합기술과 빅데이터의 출현으로 R&D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치료의 정밀화·맞춤화가 가능해졌으며, 예방관리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을 주도할 전문인력 부족에 대한 아쉬움도 내비쳤다.

원 회장은 "단순한 IT기술이 아닌 실용적 통찰력을 보유하고 복합적 데이터 활용이 가능한 융합기술을 보유한 전문인력이 부족하다"며 "정부 주도의 전문가 양성 프로젝트와 공격적인 인재양성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원 회장은 "국내 제약사들은 이미 상당한 수준에 올라 있으며,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도전과 혁신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이상 망설일 때가 아니다"라며 "제약산업은 대한민국의 미래이며, 지금  우리가 가야할 길이 있다.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산업계의 바람을 전했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이 '대한민국의 미래, 제약산업에서 길을 찾다'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이 '대한민국의 미래, 제약산업에서 길을 찾다'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이어진 '인공지능과 신약개발'에 대한 발제와 토론에서는 신약개발에 나선 세계적 AI스타트업들의 현황을 소개하고 국내 산업의 도약 가능성을 진단했다.

주철휘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 부소장은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과 인공지능 활용' 발제를 통해 세계적으로 132개의 글로벌 AI 스타트업이 인공지능 신약개발에 참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통적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신약 후보물질의 90%가 사람 대상 임상에서 실패하는 현실에서 AI를 이용한 신약개발은 의미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지적이다.

주 부소장은 "임상시험을 실험실이 아닌 컴퓨터상에서 하고 신약개발 전과정을 설계를 통해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있다"며 "인공지능은 데이터가 쌓일수록 정확도가 높아진다. 데이터 확보와 다루는 능력이 관건이다. 융복합 전문가 양성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또 "글로벌 제약사·AI스타트업·바이오·IT기업이 거미줄처럼 연결돼서 긴밀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며, "후발주자로서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은 많이 남지 않았다. 규제 개선과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혁신 전략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토론에서도 규제 개선과 혁신이 화두로 떠올랐다.

김태순 신테카바이오 대표는 "글로벌 제약업계 패권은 100년전 그대로지만 한국이 빅데이터를 이용하고 AI기술을 활용한다면 패권 안에 우리가 들어갈 수 있다"며 "'규제 과학'이 필요하다. 규제를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투자자들이 투자하고 빅파마들이 기술을 사게 된다. 규제는 과학이라는 측면에서 산업을 어떻게 견인할지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엄보영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산업진흥본부장은 "AI 기술이 상용화단계로 발전하면서 타 산업과의 지능형 융합으로 기존 산업분야의 획기적 변화를 촉발하고 있다"며 "미국은 원천기술 개발 후 민간에 이양해 혁신제품과 서비스 상용화를 견인하고 있고, 중국은 정부 주도로 총 18조원을 투자하고 인재양성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도 AI연구 거점을 마련하고  195억엔을 투입해 개방형 AI R&D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국가별 특성을 고려한 인공지능 정책들을 펼치고 있다"고 밝혔다.

권진선 일동제약 책임연구원은 "정부 부처가 추진하는 신약개발 지원책을 통합하는 범부처 중심체가 필요하다"며 "AI 전문인력 부족은 세계적인 문제다. 정책적 지원을 통해 인재 양성 교육기관을 설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두 번째 발제를 맡은 케렌 프리야다르시니 마이크로소프트 헬스케어 아시아 총괄은 '생명과학에서의 디지털 전환 역량 강화' 주제강연을 통해 "산업 각 분야의 혁신은 빠르게 진전되고 있으며, 연구실 자동화를 통해 신약개발을 앞당길 수 있다"며 "R&D 비용은 느는 데 결과물이 안 나오는 현실을 감안하면 빅데이터와 AI를 이용한 신약개발은 새로운 대안"이라고 밝혔다.

토론에 나선 조병철 연세의대 교수(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는 "신약개발은 단순한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숫자로 환산할 수 없는 긍정적인 영향을 사회에 미친다"며 "제약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혁신 신약개발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지속적인 지원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산학병연이 협업할 수 있는 지원책 마련과 함께 어떻게 규제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양석 대웅제약 사업부장은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했다.

김 부장은 신약개발 관련 빅데이터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 국내 병원이 보유하고 있는 양질의 의료정보 활용 허용, 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 등을 꼽았다. 김 부장은 "생물정보·화학정보와 인공지능을 묶어 줄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정부 차원의 협업연구 독려가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제약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선결과제"라고 강조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