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검사의학회등 6개 전문가단체, 25일 현황 및 대책 기자간담회
"확진자 증가, 지역사회 내 바이러스 보유자 조기 구분 측면 있어"

전문가들이 코로나19의 진단검사 상황과 대책을 전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지난주를 기점으로 확진자 수가 폭증한 가운데 현재 국내 진단검사의 수준을 설명하며 국민의 공포심을 줄이겠다는 복안이다.
진단검사의학회 등 6개 전문가단체는 25일 서울스퀘어에서 '코로나19 진단검사 현황 및 대책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권계철 진단검사의학회 이사장은 "코로나19 검사기관은 정확한 결과가 매우 중요하다. 현재 전문의가 있고 분자진단검사(유전자검사)에 대한 숙련도가 높은 우수검사실 중 정확도 평가를 통과한 기관이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월 22일 기준으로 전국 432기관에서 검체를 채취해 77개 의료기관에서 2만 4248명에 대해 3만 9279건의 검사를 수행했다"며 "지난 몇 주 전에 비해 환자발생이 크게 늘어났지만,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지역사회 내 바이러스 보유자를 조기에 구분해내고 있다는 신호"라고 강조했다.
향후 검사 가능 의료기관의 추가 지정을 통해 검사가능 건수를 늘리겠다는 계획도 전했다.
권 이사장은 "현재 하루 1만∼1만 5000건의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의심환자의 진단검사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질본 및 유관단체들과 긴밀히 협의해 정확한 시행체계 확립과 물질, 교육 등을 추가로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일부 언론에서는 검사 결과가 당초 음성이었다가 나중에 양성으로 나타난 경우에 대해 의구심을 제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단체는 "감염 초기 검체에 바이러스의 양이 매우 적으면 검사에서 음성으로 나올 수 있다. 또 적절한 검체를 채취하지 못하거나 검체 채취과정에서 오류가 있어도 위음성결과가 나올 수 있다"며 "의심환자의 결과가 음성이라도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새 검체로 재검사를 받을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검사법은 위음성·위양성을 최대한 방지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며 "신뢰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장철훈 대한임상미생물학회 이사장은 "일본은 국립전염병연구소를 통한 2개 대학병원에서만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게다가 키드가 아닌 자체개발 검사법으로 정확한 검사의 정도관리 보증이 어렵다"며 일본의 진단검사 현황을 소개했다.
또 "국내 검사실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검사를 할 수 있는 것은 그간 쌓아온 물적·인적 인프라가 빛을 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