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인체실험의 대상인가?
국민이 인체실험의 대상인가?
  • 김동석 대한개원의협의회장 admin@doctorsnews.co.kr
  • 승인 2020.12.11 06:00
  • 댓글 6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방첩약 문제, 국민 설득해야
건강보험 첩약 급여화 시범사업 [그래픽=윤세호 기자] ⓒ의협신문
건강보험 첩약 급여화 시범사업 [그래픽=윤세호 기자] ⓒ의협신문

의약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기어이 한방첩약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굳이 의료전문가가 아니라도 조금만 생각하면 한방첩약 급여화의 부당성을 알 수 있음에도 정부는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의 다수결을 앞세워 막무가내로 밀어붙이고 있다. 시범사업은 곧 제도화라고 볼 때 시범사업 자체를 저지했어야 하나 그러지 못했다면 시범사업 단계에서라도 막아야 한다. 

정부는 한방첩약 급여화를 되돌릴 의사가 없어 보인다. 따라서 범의약계의 반대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한 대정부 투쟁과 동시에 국민을 설득하는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 국민에게 왜 의약계가 한방첩약의 안전성과 유효성, 표준화 및 약효의 동일성, 비용효과성 등을 따지지 않으면 안 된다고 주장하는지 효과적으로 이해시켜야 한다. 

전문가가 아닌 일반 국민에게 설득력 있게 다가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전할 필요가 있다. 이를테면 안전성과 관련해서는 "국민이 인체실험의 대상인가?"와 같은 한 마디가 실효성이 있다. 지금까지 한방첩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한 적이 없었다는 사실, 따라서 과학적?의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한방첩약을 국민건강보험 급여에 적용한다는 것은 국민을 인체실험 대상으로 취급하지 않고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라는 점을 주지시켜야 한다. 

이와 동시에 근본적인 물음을 던져야 한다. "한방을 과학이라고 할 수 있나?"라는 물음이다. 과학은 기존의 이론을 극복하면서 발전해 왔다. 현대의학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한방은 조선시대의 '동의보감'을 무슨 경전이나 되듯 받들어 오고 있다. 

물론 조선시대에 '동의보감'은 당시로서는 최첨단의학의 집약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첨단을 달리는 현대에서도 동의보감이 첨단의학이라고 할 수 있나? 일반 국민도 이런 정도의 주장엔 쉽게 동의할 것이다. 한방이 현대의학으로 인하여 의료의 뒷전으로 밀려난 지 오래라는 점은 일반 국민도 이미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김동석 대한개원의협의회장
김동석 대한개원의협의회장

국민의 이해관계에서도 한방첩약 급여화는 어불성설임을 알려야 한다. 보건복지부는 한방첩약 급여 시범사업으로 연간 30만 명 이상이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복지부의 추정이 정확한지도 알 수 없지만, 설령 복지부의 추정을 받아들인다 해도 대다수 국민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임은 분명하다. 즉, 일부 한방 이용자를 위해 대다수 국민이 건보료를 많이 낸다는 얘기다. 한방건강보험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닌데 다른 사람이 한방을 이용하는 비용을 내가 부담한다는 말인가. 한방을 이용할 생각이 없는 국민은 결코 이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한방은 건강보험에서 떼어내야 한다. 별도로 운영하든지 현 건강보험에 특약으로 적용하든지 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정부가 움직여주지 않으면 가능하지 않다. 그리고 정부는 그런 걸 검토하거나 고민하지도 않는다. 그러기는 정치권도 마찬가지다. 정치권은 필시 이 사안을 이익집단 간 갈등으로 보고 쓸데없이 끼어들려 하지 않을 것이 분명하다. 

이른바 시민단체나 가입자단체 등의 집단도 이 점을 이해하려 들지 않을 것이다. 건정심에서 한방첩약 급여 시범사업을 결정한 것도 따지고 보면 이런 집단들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길은 오직 하나, 국민을 설득하는 것 외에 없다. 사람은 누구나 이해관계에 민감하다. 따라서 국민 개개인의 이해관계라는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사의 입장이 아니라 의료소비자의 입장에 서서 바라볼 때 길이 보일 것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6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베로나 2020-12-12 21:07:50
첩약급여화 그리 불만이면 의사들 사무장병원 가지말고 의사일을 간호사에게 시키는 짓 금지 등 먼저 해결하세요.

무능후 2020-12-11 14:19:55
보건복지부 장관 자리에 문과출신 인사는 앞으로 막아야한다

Kindly 2020-12-11 12:40:28
양약이야 말로 전세계인 상대로 생쳬실험 하고 있는데, 먼 개념 없는 소리하고 자빠졌나? 근본적으로 양약은 온갖 독성물질 범벅인 석유 찌꺼기로 만든 화학제품 이란걸 모르나? 제약 회사가 만든 서류로 1,2,3상 하면 검증 거친 거냐? 지금 까지 판매허가후 온갖 부작용으로 판매 중단된 양약이 헤아릴수 조차 없는데 , 복용한 사람들 피해보상은 누가 하냐? 너희들 양심이라는게 있냐? 한의학 비전문이 첩약에 대해 멀 안다고 주제 넘게 설치나? 무식 하면 겸손 하기라도 해야지,
정직 하게 살고, 최소한 너희들 자식들 앞에선 떳떳 해야지 , 안그래?

박영양 2020-12-11 10:04:54
대국민 홍보물 광고물이 많이 있으면 좋겠어요. 설명해 주면 국민들은 바로 이해를 하는데 그 전에는 막연히 밥그릇 싸움으로만 보고 있거든요. 말씀하신것 처럼 신문광고등 대국민홍보가 제일 중요할것 같습니다.

원영석 2020-12-11 09:38:37
생리통을 이용하여 한약으로 치료하는 한의사들보면 한심합니다. 그렇게 해서 좋아진 사람이 한명도 없습니다. 그럼에도 정부가 이렇게 무리하게 성분도 모르는 한약을 보험급여화한다면 더욱더 많은 사람들이 잘못된 치료에 노출될 수밖에 없습니다. 적극 동의합니다!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