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와 싸운 요양병원 현장 보고서 발간
요양병원 9곳 방문 직접 인터뷰...생생한 증언 담아
대한요양병원협회가 코로나19와 사투를 벌인 요양병원들의 절박했던 상황과 방역 과정의 문제점, 대안 등을 제시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현장 보고서 <우리가 K-방역입니다>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해 코호트 격리를 했던 요양병원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생생한 인터뷰 형식으로 기록했다.
대한요양병원협회는 보고서 발간을 위해 서울과 지방의 9개 요양병원을 방문해 대표자, 실무책임자 등으로부터 △코로나19 확진자 이송 △코호트 격리 △PCR 검사 △역학조사관 활동 △방역물품 지원 △방역당국의 역할 △피해 보상 등에 대한 증언과 함께 감염 예방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보건소, 질병관리청, 시청에 수도 없이 환자들을 이송시켜 달라고 요청했더니 첫 확진자가 나오고 10여일 뒤에서야 병동에 있는 환자들을 빼주기 시작하더라고요." "전수검사에서 확진자가 나와 코호트 격리에 들어갔는데 PCR검사를 3일에 한 번만 해주니까 입원환자들이 너무 걱정되는 거예요. 그래서 신속진단키트를 따로 구매해 감염의심증상이 있으면 바로 검사해 양성반응 나오면 자체 격리시켰어요."
"코호트 격리는 아무도 나오지도, 들어가지도 말고 무조건 폐쇄하라는 개념이었어요. 10여명의 직원이 격리병동에 남아 밤낮 환자 돌보면서 소독까지 다 하라는 게 말이 안되잖아요." "코호트 격리에 들어가니까 방역당국에서 레벨D 방역복 100벌을 주더라고요. 그게 전부예요. KF94 마스크, AP가운, 소독티슈, 라텍스 장갑, 레벨D 방역복, 페이스 쉴드 등 모두 자체 조달할 수밖에 없었어요." "가장 힘들었던 게 인력 부족이었어요. 간병인들은 환자 만지지 않겠다며 일을 안 하더라고요. 보건소는 인력 지원도 안 해주고. 다시 이런 상황이 벌어지면 절대 못할 것 같아요. 정말 지옥 같은 시간이었어요."
"우리는 바빠 죽겠어요. 밥 먹을 시간도 없고, 하루 한 끼도 못 먹고, 물 한 모금 마시지 못할 때도 있어요. 그런데 질병관리청, 시청, 도청, 보건소, 소방서, 경찰서, 공단 등 정말 수 십개 기관에서 자료 보내라고 전화해요. 응대하느라 일도 못하고." "전체 직원 월급이 한 달 치 밀려 있어요. 급여만 그런 게 아니라 거래업체에서도 결제가 밀리니까 납품을 꺼려요. 제때 손실보상을 해줘야 병원도 살고, 환자도 살릴 수 있는데. 손실보상 하는데 3, 4개월이 걸린다네요."
의료현장에서 감염병전담병원 부족으로 인한 감염확산, 현실에 안맞는 코호트격리, 방역용품 지원의 지역 별 차이, 방역당국의 인력지원 미흡, 병원의 막대한 손실 등 증언이 쏟아졌다. 여기에 코호트 격리를 경험한 요양병원들은 병원 내부의 문제로 감염이 확산하는 것처럼 생각하는 시각에 대해서도 억울하다고 호소했다.
"요양병원 환자들은 거동이 불편해요. 밥도 혼자 못 드시고, 화장실도 못 가고. 그러니 간병인이 밥 먹여드리고, 재활치료실 모셔가고, 체위 변경하고, 기저귀 교체하고, 목욕해 드리고 다 해드려야죠. 그 과정에서 밀접접촉이 일어날 수밖에 없지 않겠어요?"
이처럼 현장에서 처절하게 코로나 19를 경험한 요양병원 종사자들은 간병제도 개선, 감염관리 수가 현실화가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요양병원은 한 사람의 간병인이 여러 환자를 목욕시키고, 기저귀 교체, 식사 보조하면서 병실에서 잠도 같이 자잖아요. 이럴 때는 마스크도 벗기 때문에 감염에 취약할 수밖에 없어요." "간병인이 병실에서 자지 않고, 필요할 때만 가서 보조해주는 간호간병통합방식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요양병원 입원환자는 고령에다가 기저질환이 있어 감염에 매우 취약하죠. 그래서 감염관리를 잘해야 하는데 수가는 중소병원보다 낮은 게 현실입니다. 제발 감염예방관리료 차별을 없애주세요."
요양병원 종사자의 절절한 요구와 함께 대한요양병원협회는 이번 보고서에 감염병 제도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간병제도 개선 △다인실 구조 개선을 위한 상급병실료 보험급여화 △감염예방관리료 현실화 △일당정액수가제도 개선 △격리실 입원료 체감제 개선 △코로나19 야간간호료 수가 인정 등을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