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은주 교수팀, 진행성 암환자 96만명 분석…재활치료 저조 사실 밝혀
"진행성 암환자 재활의료 수준 향상 위해 수가 개선 등 지원 필요" 제시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양은주 교수팀(공동 제1저자:한국보건의료연구원 조송희 부연구위원, 국립암센터 정승현 교수)이 국내 진행성 암환자 중 6.4%만이 재활치료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진행성 암은 수술로 암 조직을 제거하기 어렵거나 주변의 다른 장기나 조직으로 전이돼 완치가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환자들은 수술이 어렵기 때문에 항암치료만을 받으며 생활하게 되는데, 암 투병 과정에서 보행능력을 비롯한 여러 신체 기능이 저하되고 만성적인 통증, 피로 등 증상을 경험하며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진행성 암환자는 항암치료에 더해 꾸준한 재활치료를 받아 피로, 통증, 손발 저림, 근력 악화, 우울감 등 다양한 증상을 관리하고 신체 기능을 유지함으로써 삶의 질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 재활치료가 발달한 미국에서는 진행성 암환자 중 88%가 재활치료가 필요하며, 이 중 21%가 치료를 받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 일본은 2010년부터 암환자에 대한 재활치료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법안을 마련하고, 의료수가를 신설하는 등 보건의료 계획을 수립 및 추진해나가고 있다.
그러나 연구팀에 따르면 한국은 진행성 암환자들의 재활치료 이용률은 6% 수준에 불과하고, 체계 구축 및 활성화 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은주 교수팀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 중앙암등록자료 및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에 연계된 진행성 암 신규환자 96만여 명을 분석, 이 중 단 6.4%인 6만 명만이 재활치료를 받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진행성 암환자 중 30% 이상이 중등도 이상의 장애를 갖고 있고 암 재활치료가 전반적인 신체 기능 회복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다양한 연구에서 규명된 만큼, 현재 국내 진행성 암 재활치료 이용률은 실제 필요성에 비해 크게 낮은 편이다.
주목할 만한 사항은 뇌종양이나 골육종의 경우 전체 평균을 크게 상회해 약 28%의 환자가 재활치료를 받았다는 점인데, 두 질환은 다른 암종과 달리 재활치료에 대한 건강보험수가 기준이 마련돼 있어 비교적 접근성이 높은 것이 이유로 분석된다.
재활치료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가 기준이 반드시 확립돼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
연구팀은 환자의 기능저하를 중심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세계보건기구(WHO) 가이드라인을 적용하기 어려운 현실도 낮은 이용률의 원인으로 분석했다.
진행성 암의 경우 다양한 기능저하가 일어나기 때문에 환자별 증상에 따라 접근을 달리해야한다.
그러나 한국은 질환마다 정해진 증상에 대해서 재활치료를 실시하는 '질환명 중심'의료 체계를 갖추고 있어, 진행성 암환자의 보행 장해(障害), 근력저하, 피로, 일상생활기능 장해 등 광범위한 기능저하에 대해 적절한 재활치료를 제공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정승현 교수는 "진행성 암환자에 대한 재활의료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의료 체계의 변화, 수가 기준 확립 등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이에 국가 암관리종합계획에서 암 재활치료의 활성화를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양은주 교수는 "진행성 암환자의 생존율과 암 치료 후의 생존 기간이 점차 늘어나는 만큼, 재활치료를 통해 환자들이 더 나은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성 암환자들을 위한 재활치료가 더욱 발전하고 활성화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 의학저널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2021년 11월 게재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