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급한 거리두기 완화' 반복…의료현장 '의료 시스템 붕괴' 호소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에 헌신했지만 '일방적 지침·통보' 지속
'그럼에도'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 부족에 힘 보태는 개원가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7000명 돌파'.
지난 11월 온 국민의 기대 속에 시작했던 단계적 일상 회복은 폭발적인 확산세로 돌아왔다.
특히 이번 확산세는 고령층의 높은 확진 비율로 인해 위중증 환자가 급증한 것이 특징. 여기에 감염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출연이 더해지면서 정부는 또다시 일상 회복 '멈춤'을 택했다.
'성급한 일상 회복'에 대한 지적은 앞서 수차례 반복됐다. 특히 올해 7월에 거리두기 완화 조치를 발표할 당시 코로나19 확진자는 1000명을 넘어섰다. 전문가들의 우려에도 방역당국은 그대로 방역 조치를 지속, 4차 대유행으로 이어졌다. 의료진들은 당시에도 "조급한 결정으로 좋은 기회를 번번이 날리고 있다"며 한탄했다. 결과적으로 11월 단계적 일상 회복 방역 조치에서도 같은 행태를 반복하게 된 것이다.
11월 중순 이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병상가동률은 당초 정부가 단계적 일상 회복 당시 예고했던 '비상대응계획' 발동 기준을 넘어섰다. 이미 '의료 시스템이 붕괴 상태'라는 의료계의 호소가 이어졌다. 현 상태는 4차 대유행을 넘어선 '5차 대유행'이라는 진단도 나왔다.
코로나19 응급실은 코로나19 대기 병상으로 전락했다. 코로나19 감염환자가 폭증해 확진 환자의 응급실 내 체류시간이 300시간이 넘어, 응급실에서 격리 해제 후 퇴원하는 사례까지 나왔다.
감염 전문가들은 "단계적 일상 회복은 방역과 일상의 균형점을 찾는 과정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만 추진될 수 없다. 지금은 의료체계의 대응 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멈춤이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라고 호소했다.
방역당국은 계속되는 병상 부족, 의료진 호소에 결국 언제 다시 누를 지 모를 '일상 회복' 멈춤 버튼을 눌렀다.
개원가에서도 잡음은 이어졌다. 의료계와 상의 없이 수시로 '백신 접종 지침'을 변경·통보하면서 혼란이 이어졌다. 백신 수송 방식부터 위탁의료기관 요일제 운영까지 일방적인 발표와 촉박한 기일 설정이 이어졌다.
우리나라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은 동네의원 위탁의료기관의 참여로 급증, 방역 정책 전환에 핵심 발판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의료계의 묵묵한 헌신에도, 의료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 통보가 계속되면서 개원가의 불만이 나왔다. 중앙부처와 보건소의 지침이 엇갈리는 일도 발생하면서, 혼란은 가중됐다.
그럼에도 개원가는 또다시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재택치료 기본 방침에 따라, 관리 의료기관이 부족해 지면서 동네의원들이 또 한 번 힘을 보태기로 한 것이다. 대한의사협회와 서울특별시의사회는 '코로나19 재택치료관리 의원급 의료기관 서울형' 출범식을 개최, 기존 병원급 의료기관 중심의 재택치료 시스템에 의원급 의료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