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병원과 같은 구조의 병원 계획은 부실한 설계" 지적
김민철 상임이사 "의료원 설립 과정에 지역의사회 주도적인 참여 필요"
광주의료원 설립이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사업에 포함되지 않은 것과 관련해 원점에서부터 다시 기획 및 설계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 광주의료원은 공공병원인 만큼 기존 민간병원과 똑같은 구조의 병원을 계획한 것은 잘못됐다는 지적이다.
광주광역시의사회는 1월 22일 무등 파크 호텔에서 '광주의료원 성공 개원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광주의료원이 예비타당성 면제에서 탈락하고, 10억원 이라는 설계비를 받게 되어 설계에서부터 부실하다는 지적과 함께 광주의료원의 성공적인 개원을 위해 기본부터 다시 점검하고 기획 및 설계에서부터 배제됐던 광주시 의료계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열렸다.
김종선 광주시 광산구의사회장은 이날 "광주의료원은 필수의료를 담당하는 제대로 설계된 공공의료원이 되어야 하는데, 설립계획에서부터 기존의 민간병원과 똑같은 구조의 병원을 계획하는 등 의료전달체계와 대한민국 의료문제에 대해 무지한 관계자가 기획한 부실한 설계"라고 주장했다.
이어 "현재 필수의료과는 환자를 볼수록 적자를 보는 구조로 되어 있어, 현 의료체계에서 공공의료원인 광주의료원은 필연적으로 적자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적자는 결국 광주시민의 세금으로 충당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재정자립도가 낮은 광주시에서는 이에 대한 해결방안도 설립 과정에서부터 고민돼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나백주 서울시립대 도서보건대학원 교수는 "공공병원은 보건의료시장이 형성되기 어려운 영역인 재난 의료, 예방 중심의료, 의료취약지역이나 계층의 치료 등 민간병원과 진료 범주가 다른 병원이어야 한다"라며 "공공병원은 시장성에 어긋나더라도 수익성을 강조하지 않는 이타적인 진료에 중점을 두어 민간병원과 진료 범주가 겹치지 않게 서로 공생하는 관계로 균형을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휴 광주보훈병원장 역시 "광주의료원 같은 공공병원은 1, 2차 의료를 담당하지 않는 병원으로, 수익을 보기 위해 개원하는 병원이 아님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철 광주시의사회 상임이사는 "광주의료원만의 차별화된 전략으로 기존의 의료원을 그대로 답습하지 말고 지역 맞춤형 의료원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라며 "이를 위해 특정 병상 수를 유지해야 한다는 고정관념과 모든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 광주시민을 위해 무엇이 광주의료원이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인지 지역사회 주치의들의 적극적인 의견수렴을 받아야 하며, 설립 과정에서부터 지역의사회의 주도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광주의료원은)필수의료 중심의 젊은 병원이라는 색깔을 가지고, 필수의료가 공공의료를 공공의료가 필수의료를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제시했다.
이 밖에 이찬영 전남대병원 전공의협의회장은 "전남대병원, 조선대병원 및 보훈병원 전공의를 대상으로 광주의료원과 관련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공의들은 지역공공의료 강화에 대한 기대감과 대학병원으로의 쏠림 현상이 완화될 수 있을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의견을 밝혔다"라면서도 "과반수 이상은 이미 광주는 충분한 병상이 운영되고 있는 도시이고, 기존의 타지 의료원이 보여준 모습처럼 운영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것 같아 세금 낭비일 가능성이 높다는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박유환 광주시의사회장, 이달주 광주시 복지건강국장, 김영진 광주시의료원 설립추진위원장, 정명호 국립심혈관센터추진위원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