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체 데이터, 한국인 11만여명 유럽인 56만여명 자료 교차 분석
한국인 주관적 행복도는 유럽인과 80% 수준의 유전적 상관성 보여
주관적 행복도와 밀접한 정신장애 원인·치료법 규명 열쇠로서 의미 커
명우재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원홍희 교수(삼성서울병원 삼성융합의과학원·김소연 연구원(삼성서울병원 삼성융합의과학원)·김기원 교수(강동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미래의료연구부 유전체연구기술개발과 공동연구팀은 한국인의 주관적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조성(genetic architecture)을 밝혔다.
주관적 행복도는 스스로 느끼는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를 의미한다. 사람들은 여러 사건을 경험하며 일시적으로 행복하거나 불행할 수 있지만, 그 사건이 지나가고 나면 평소 느끼던 행복한 정도로 돌아간다고 한다.
이렇게 평소에 느끼는 주관적 행복도는 개개인의 고유한 특징으로 상당 부분이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며, 정서조절능력,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능력 등이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 우울증과도 연관이 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인간의 정서, 인지, 정신장애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열쇠다.
그간 문화적인 차이, 인종 간의 유전적 차이가 주관적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주관적 행복도의 유전적 요인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서양인에서는 많이 이뤄져 약 300여 개의 관련 유전변이가 알려졌지만, 아시아인, 특히 한국인에서의 행복에 대한 유전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연구팀은 한국인 11만명의 유전체 데이터에서 주관적 행복도와 연관된 3개의 유전변이를 규명하고, 유럽인 56만명의 유전체 데이터를 함께 분석해 12개의 관련 유전 변이를 추가로 규명했다.
발굴된 유전변이는 FOXP1, UNC5C와 같은 유전자와 가까이 위치했고, 이들 유전자는 정신장애 및 인지기능과 연관이 있었다.
또 주관적 행복도와 연관된 유전 변이들은 대뇌와 같은 중추신경계의 조직에서 더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 한국인의 주관적 행복도와 유럽인의 주관적 행복도는 유전적으로 약 80% 가량의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이는 한국인에서 주관적 행복도를 높이거나 낮추는 유전변이들의 영향이 유럽인에서도 80% 가량 동일하게 작용한다는 의미다.
연구에 따르면 ▲아침형 생활습관 ▲높은 교육수준 ▲금연 ▲높은 인지기능 등은 높은 주관적 행복도와 유전적 상관성이 있었는데, 이는 주관적 행복도가 높은 사람이 단순히 이러한 특성을 갖고 있음을 넘어 유전적인 요인을 통해 연관된다는 것을 뜻한다.
반면, ▲신경증적 성격특성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와 같은 정신건강 관련 요인과 ▲비만 ▲긴 TV시청시간 등은 낮은 주관적 행복도와 유전적 상관성이 있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 발굴한 유전변이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이러한 특성 중 우울증은 주관적 행복도에 인과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관적 행복도가 낮은 사람은 행복을 덜 느낄 뿐 아니라 그로 인해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높은데, 이는 향후 우울증의 유전적 요인을 밝히는 후속 연구에도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명우재 교수는 "주관적 행복도는 정신장애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며 "행복에 대한 유전적 조성을 규명하는 것은 정신장애의 원인을 찾고 치료 방법을 밝히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원홍희 교수는 "본 연구는 데이터의 방대함과 다양성의 측면에서 세계적인 규모·수준을 갖춘 연구"라며 "다양한 인구집단에서 공유되는 주관적 행복의 유전적 특성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유전학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립보건연구원 미래의료연구부 유전체연구기술개발과에서 자체 개발한 한국인칩 유전체 데이터를 활용한 성과로 국내 유전체 연구의 학술적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사례이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쳐인간행동>(Nature Human Behaviour, IF=24.252) 2022년 5월 호에 게재됐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기초연구사업의 중견연구 지원사업, 신진연구지원사업, 신진중견연계사업,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바이오메디컬 글로벌 인재양성 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지원으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