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성 시각장애인 청각은 왜 뛰어날까

선천성 시각장애인 청각은 왜 뛰어날까

  • 이영재 기자 garden@kma.org
  • 승인 2022.08.02 11:19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리 패턴·음색 인식 우측 대뇌반구 기능 향상 주요 요인…첫 규명
이분청취능력검사·주파수 패턴검사·어음인지력 검사 등 통해 확인
심현준 을지의대 교수팀, 국제학술지 'Frontiers in Psychology' 게재

심현준 노원을지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심현준 노원을지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선천성 시각장애인이 비시각장애인보다 청각 능력이 뛰어난 이유가 밝혀졌다.

사람의 대뇌는 중앙의 긴 홈을 기준으로 좌우 반구로 나뉜다. 신체의 모든 신경 다발이 뇌교를 지나 서로 반대 방향의 반구를 향해 간다. 따라서 좌·우측 귀로 들어온 소리는 반대편 뇌로 신호가 올라가게 된다. 

이런 중추 청각처리 능력을 살펴본 결과, 선천성 시각장애인은 언어를 이해하는 역할을 하는 좌측 대뇌반구보다 소리의 패턴과 음색을 인식하는 우측 대뇌반구의 기능이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오랜 시간 시각 정보가 차단되면서 대뇌가 청각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보상적으로 발달한 것이다.

심현준 을지의대 교수팀(노원을지대병원 이비인후과)은 선천성 시각장애인 23명, 비시각장애인 22명을 대상으로 이분청취능력검사·주파수 패턴검사·소음환경에서 어음인지력 검사 등을 통해 이들의 중추 청각처리 능력을 비교 분석했다.

양측 귀에 다른 소리가 들어올 때 인지능력을 알아보는 '이분청취능력검사'는 각각 다른 3가지 숫자를 동시에 들려주고 어떤 소리인지 맞추는 검사다. 이 검사에서 비시각장애인의 경우 우측 귀(15점), 좌측 귀(12점)으로 우측 귀로 들은 소리를 더 잘 맞추는 우측 귀 우세를 보였다.

반면 시각장애인은 우측 귀(15점) 좌측 귀(16점)으로 비시각장애인보다 좌측 귀 수행능력이 훨씬 우수했다. 이는 시각장애인에서 좌측 귀와 연결된 우측 대뇌반구의 기능이 더 발달했음을 시사한다.

'주파수 패턴검사'는 고주파수와 저주파수 두 가지 음을 무작위로 5개를 조합해 소리 패턴을 맞추는 형식이다. 소리의 높고 낮음을 흐밍으로 따라 하는 반응으로 소리의 패턴과 음색을 인식하는 우측 대뇌반구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좌·우측 귀(15점/15점), 비시각장애인의 경우 좌·우측 귀(13점/14점) 측정값이 나왔다. 좌·우측 귀 모두 시각장애인이 더 우수한 수행력을 보여 상대적으로 우측 대뇌반구가 발달했음이 확인됐다. 

■ 이분청취능력검사를 통해 알아본 중추청각처리 능력. 비시각장애인의 경우 우측 귀(15점) 좌측 귀(12점)으로 우측 귀 우세 현상이 나타났다. 우측 귀가 언어인지 중추가 있는 좌측 대뇌반구와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반면 선천성 시각장애인은 좌측 귀(16점)으로 월등한 수행능력을 보였다. 좌측 귀와 연결된 우측 대뇌반구의 기능이 더 발달했기 때문이다. *Sighted(비시각장애인), Blind(선천성 시각장애인).
■ 이분청취능력검사를 통해 알아본 중추청각처리 능력. 비시각장애인의 경우 우측 귀(15점) 좌측 귀(12점)으로 우측 귀 우세 현상이 나타났다. 우측 귀가 언어인지 중추가 있는 좌측 대뇌반구와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반면 선천성 시각장애인은 좌측 귀(16점)으로 월등한 수행능력을 보였다. 좌측 귀와 연결된 우측 대뇌반구의 기능이 더 발달했기 때문이다. *Sighted(비시각장애인), Blind(선천성 시각장애인).

소음크기를 5단계로 구분해 시행한 '소음환경에서 어음인지력'에서는 가장 큰 소음인 -8dB에서만 시각장애인이 비시각장애인보다 더 뛰어난 수행력을 보였다. 뇌파검사에서도 큰 소음 상황인 -8dB, -4dB에서 시각장애인의 뇌파가 비시각장애인보다 더 크게 반응했다. 적은 소음 상황에서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의 어음인지력 차이가 없는 것은 언어나 문자 이해력을 담당하는 좌측 대뇌반구는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에서 별 차이가 없기 때문인것으로 해석된다.

심현준 교수는 "이번 연구로 장기간의 시각 상실이 우측 대뇌의 기능을 발달시킨다는 새로운 사실을 규명했다"라며 "추후 시각장애인에게서 난청이 발생했을 때 차별화된 청각 재활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후원으로 이루어졌으며, SCIE급 뇌과학저널인 <Frontiers in Psychology> 5월호에 게재됐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