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암 청소년 절반 이상(57.5%) 일주일에 한 번도 운동 안해
평균 수면 시간은 7.6시간으로 일반 청소년 보다 1.3시간 더 길어
부모 정기적 운동 영향 미쳐…"완치 후 운동량 늘려 건강한 삶 도모"
소아암 병력이 있는 청소년들은 완치 이후 건강한 청소년과 비교해 신체 활동량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신체활동을 늘리면 그 자체로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암 치료로 인한 부작용을 완화하는 데도 보탬이 되는 만큼, 소아암 환아 부모와 의료진 모두 눈 여겨 볼 대목이다.
송윤미 성균관의대 교수(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백희조 전남의대 교수(화순전남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여요환 한림의대 교수(동탄성심병원 가정의학과) 공동연구팀은 2017년 시작한 국내 소아암 생존자 코호트에서 중·고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184명과 성별, 나이를 맞춘 대조군 1840명을 비교 분석해 호스피스와 완화의료 분야 권위지인 <암완화치료>(Supportive Care in Cancer·IF=3.359)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소아암 병력이 있는 청소년들의 평균 나이는 15.7세로, 대조군(15.3세)과 비슷했다. 발병 당시 고형암(40.8%), 백혈병(33.7%), 뇌종양(14.1%), 림프종(11.4%)을 진단받았으나, 완치 판정 후 평균 5.4년이 지나 건강을 되찾은 상태였다.
하지만 완치판정 이후에도 병이 남긴 상흔은 깊었다.
소아암 청소년의 체질량지수(BMI)는 18.6 kg/㎡로 저체중 기준을 간신히 넘겼다. 대조군은 21.6 kg/㎡로 차이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체격이 왜소하다는 방증이다.
60분 이상 중등도의 운동을 일주일에 몇 번 했는지 묻는 질문에 소아암 청소년 절반 이상(57.5%)이 한 번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일반적으로 중등도 운동은 약간 숨이 찰 정도의 빠르게 걷는 수준을 가르킨다. 같은 질문에 대조군으로 참여한 건강한 청소년의 비율은 32.8%이었다.
대조군을 기준으로 활동 가능성을 통계적으로 측정했을 때 소아암 청소년은 일주일에 3일 이상 정기적으로 운동할 가능성이 대조군의 54% 수준에 불과했다. 정기적으로 중등도 이상 운동 가능성도 대조군의 44%에 그쳤다.
수면 시간은 소아암 청소년이 더 길었다. 소아암 청소년의 일 평균 수면 시간은 7.6시간으로, 대조군(6.3시간) 보다 1.3시간 더 길었다. 깨어있는 시간이 적어 활동량이 줄어들었을 개연성이 커졌다는 의미다.
소아암 청소년의 활동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보호자의 정기적인 운동이 도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자 보호자가 주기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 소아암 청소년이 달리기와 같은 고강도 운동을 할 확률이 2.08배 뛰었다.
연구팀은 "미국암협회는 소아암 환자에게 일주일에 5일 이상, 60분 이상 중등도 운동을 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학업에 바쁘겠지만 운동에 시간을 투자해야 더 오래, 더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다. 보호자와 의료진 모두 관심을 갖고 아이가 운동에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