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철우 가톨릭의대 교수(서울성모병원 신장내과)가 일본 요코하마 PACIFICO Yokohama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일본투석학회(JSDT·6∼9일)에서 '한국 말기신부전환자의 신대체요법 현황 및 대책'에 대해 강연했다.
양철우 교수는 우리나라 말기신부전의 발생률과 유병률이 세계적으로 1, 2위를 다투고 있으며 특히 혈액투석 환자가 최근 10여 년간 2배 이상 급격히 증가했다고 보고하고 이런 증가 원인으로 인구 고령화와 당뇨병의 증가를 들었다.
양철우 교수는 "국내 전체 투석 환자의 60%가 65세 이상이며 투석을 시작하는 환자의 평균 연령이 66세로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었다. 말기신부전의 원인 중 당뇨병이 차지하는 비중이 48%에 이르면서 당뇨병에 따른 콩팥합병증의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라면서 "인구 고령화와 당뇨병은 일본, 한국, 타이완 등 극동아시아국가가 공통으로 겪고 있는 문제로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신장학회에서 시행하고 있는 'Kidney Health plan(KHP) 2033'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양철우 교수는 "KHP 2033는 향후 10년 동안 만성콩팥병 발생과 당뇨로 인한 말기신부전 발생을 10% 감소시키고, 재택 치료(복막 투석과 신장이식) 비율을 33%까지 높이는 것이 목표"라면서 "만성콩팥병의 예방을 위한 홍보, 당뇨병 신장병 신약에 대한 신속한 임상 도입, 복막투석 재택관리사업 등 다양한 정책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올해 69회 째를 맞는 일본투석학회 학술대회는 투석 분야 세계 최대 학회로 올해 1만 6000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