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안심전화, 암 의심환자 추적 관리에 유용한 중재 수단

AI 안심전화, 암 의심환자 추적 관리에 유용한 중재 수단

  • 이영재 기자 garden@kma.org
  • 승인 2024.11.12 09:48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립선 조직검사 후 효과 비교…사람보다 열등하지만 우월한 점도 있어
순천향대서울병원 비뇨의학과·고려의대 예방의학과·SK텔레콤 공동연구

김재헌 순천향대서울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왼쪽)와 <span class='searchWord'>정재훈</span> 고려의대 교수(예방의학).
김재헌 순천향대서울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왼쪽)와 정재훈 고려의대 교수(예방의학).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전립선 조직검사 후 환자의 합병증 및 불안 정도를 확인하는 안심전화가 완벽하게 사람을 대체하지는 못하지만, 일부분에서 우월한 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재헌 순천향의대 교수(순천향대서울병원 비뇨의학과), 정재훈 고려의대 교수(예방의학), SK텔레콤 공동연구팀은 2022년 10월∼2023년 12월 전립선조직검사를 위해 내원한 42명의 환자를 무작위로 그룹을 나누고 안심전화 만족도를 조사했다.

조직검사를 시행한 다음 날과 둘째 날의 안심전화를 '인공지능 기반 그룹', '사람이 직접 하는 그룹', '안심 전화를 아예 하지 않는 그룹' 등으로 나눠 만족도를 비교했다.

환자의 만족도는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부작용 관리에 대한 만족도는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시각적통증척도(VAS), 상태불안척도(STAI)로 측정했다.

측정 결과, 인공지능과 사람이 하는 안심전화 비교에서는 사람이 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만족도가 높았고, 시각통증척도로 측정한 만족도는 인공지능과 사람이 안심전화하는 경우가 안 하는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상태불안척도로 측정한 불안 정도는 세 그룹 간 차이는 없었으나, 시각통증척도로 측정한 불안 정도는 인공지능으로 전화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다른 두 그룹보다 낮게 조사됐다. 

김재헌 교수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조직검사 후 환자의 합병증 및 불안 정도를 확인하는 안심전화는 완벽하게 사람을 대체하지는 못하지만 일부분에서는 우월한 점도 있음을 증명한 연구"라며 "향후 보다 대규모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 안심콜이 사람이 하는 경우 대비 비열등성, 그리고 아예 안 하는 경우 보다의 우월성 검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정재훈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장기 추적관찰과 관리가 필요한 암 의심환자에서 지속적이고 비용효과적인 중재 수단의 효율성이 확인됐다"라면서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기술 발전을 통한 유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과 SK텔레콤이 2022년 MOU 체결 이후 공동발표한 첫 번째 연구 결과이며, 논문은 남성과학 분야 상위저널인 <The World Journal of Men's Health>에 출판 예정이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