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경정신의학회 등 입장문…"정신질환 사회적 낙인찍기 안 돼"
언론·미디어에 자극적 보도 자제 요청…무분별한 댓글도 지양해야
철저한 조사 거쳐 범죄 책임 물어야…유사범죄 방지 정책·제도 마련
![](/news/photo/202502/158433_127784_2417.jpg)
학교 안에서 교사에 피살된 초등학생 참사 사건에 대해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낙인찍기보다 트라우마 회복과 치유를 위한 사회 공동체의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한국심리학회 등은 14일 입장문을 통해 피해 학생과 유족에게 깊은 애도를 전하고, 희생자와 유가족, 목격자, 피해아동이 속한 학교 공동체(학생·교사·학부모), 이번 사고로 충격을 받은 국민의 충격과 고통을 위로하고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회복하는 게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 마련과 정신질환에 대한 언론의 자극적 보도 자제도 요청했다.
학회는 "갑작스러운 참사에 직면한 유가족과 국민은 슬픔과 분노, 무력감, 죄책감, 수면 문제와 신체 증상 등 다양한 애도 반응과 트라우마 반응을 경험할 수 있다"라면서 "참사로 인한 심리적 충격을 회복하기 위해 애도과정을 충분히 함께하고 심리적 회복을 위한 지원과 도움이 필요하며, 만약 고통이 심하고 일상 생활이 힘들게 느껴지면 즉시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부와 사회공동체의 적극적인 치유·회복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학회는 "정부는 피해자와 유가족, 국민 모두가 안전한 환경에서 애도의 과정을 견디고 회복해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사회적 지지와 연대감은 마음건강 회복의 핵심이며, 피해자나 유가족, 학교 구성원들에 대한 평가나 판단, 섣부른 조언보다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함께 있어 주는 게 가장 효과적인 지지와 위로가 된다"라면서 "지역사회, 관계기관, 전문가, 언론, 정부와 사회구성원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이번 참사의 수습과 회복, 재발방지를 위한 역할에 충실하며 피해아동과 유가족, 학교 구성원들을 혐오와 비난, 2차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고 짚었다.
언론과 미디어의 정신질환에 대한 자극적인 보도 자제도 요청했다.
학회는 "언론 취재는 정신건강과 관련한 보도기준인 '정신건강 보도 권고기준'을 따라야 하며, 정신질환을 범죄의 동기, 원인과 연관시키는 데 지극히 신중해야 한다"라면서 "가해자의 정신질환 관련 내용을 제목이나 도입부에 포함시키는 것은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을 강화할 수 있다. 기자가 트라우마와 정신건강 관련 보도에 대한 지식과 대처를 숙지하도록 해 취재원, 언론인, 국민이 추가적인 트라우마를 겪거나 정서적 상태가 악화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고 전했다.
대중에 대한 호소도 이어갔다.
학회는 "참사 관련 보도에 대한 자극적인 댓글이나 잘못된 정보를 생산·공유하는 행동을 지양해야 한다. 가해자의 우울증 치료병력이 우울증의 폭력성을 의미하지 않는다"라면서 "이번 사건이 자칫 우울증에 대한 편견을 조장해,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없는 치료를 막아서는 안 된다"고 단언했다.
유사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정책과 제도 마련도 당부했다.
학회는 "가해자의 범죄와 정신건강의 문제는 충분히 조사하되, 가해자가 범죄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게 사법절차를 진행하고 유사범죄가 재발되지 않도록 관련 정책과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라면서 "언론과 미디어는 수사과정에서 이번 사건이 정신질환과 연관됐다는 내용을 파악하더라도 범죄의 유일한 원인으로 단정하거나 정신질환으로 인한 사건으로 암시하는 용어를 사용하면 안 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