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온라인 회의 열고, 유급·제적 가능성도 합의문에 담아
KAMC "2026학년도 모집 정원 3058명 꼭 지켜내겠다"

의대가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이 의대생의 휴학 신청을 '반려'하기로 뜻을 모았다. 동시에 전국 의대 학장들은 학생들을 향해 재차 '복귀'를 호소했다. 의대생들은 교육의 '질'을 우려하면서도 학교와 교육부의 복학 압박에 당황스럽다는 입장이다.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19일 오전 온라인 회의를 갖고 이같이 합의했다.
의총협은 "현재 제출된 휴학계는 즉시 반려하고 21일까지 그 작업을 완료한다"라며 "병역법에 따른 입영이나 복무, 신체·정신상 장애로 장기요양, 임신·출산·육아에 해당하지 않는 사유의 휴학 신청은 승인하지 않기로 했다"고 합의문에 명시했다.
또 "유급·제적 등 학칙상 사유가 발생하면 원칙대로 처리하고 2025학년도는 개별 대학 학칙을 의대에도 똑같이 엄격히 적용한다"라며 "학생 복귀 기준은 대학별로 통상적인 수준에서 학사가 정상적으로 회복돼 수업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합의했다.
이번 합의는 교육부가 앞서 발송한 각 대학에 "대규모 휴학 신청을 승인하지 말라"는 내용과 일맥 상통한다.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은 같은 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다른 모든 학생들한테 적용하는 일반적인 학사 원칙을 작년에 의대생에게 예외적으로 특별 적용을 했는데 여러 가지 사정상 더 이상 특별 대우하기 어렵다"라며 "시간이 갈수록 의대 교육 여건이 계속 나빠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모든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일반적인 학사 원칙을 적용해서 대학을 운영할 수밖에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이 휴학을 반려하기로 합의한 날, 전국 의대 학장들은 재차 학생들에게 '복귀'를 호소하는 서신을 보냈다.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정원 3058명을 반드시 지켜낼 것"이라고 재확인하며 "전국 40개 대학은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이제 학생은 학업의 자리로 돌아오고 기성세대인 선배 의사와 교수는 과거를 성찰하고 의료인력 양성을 포함한 의료시스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이어 "일부 예외없이 전원 복귀라는 것은 잘못된 정보"라며 "미등록으로 의사표현을 하고 있는 학생들이 있는데 미등록 규정이 대학마다 다르다. 학생이 예상치 못한 피해를 받을 수 있으니 대학 당국에 꼭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등록할 것을 강력 권고한다"고 했다.
제적 후 타학과 편입으로 의대를 구성하겠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서도 "전혀 고려해본 적 없는 안"이라고 선을 그으며 "고등교육법과 학칙을 위배하면서 총장과 학장이 단독으로 어떤 결정도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반면 의대생들은 교육의 질을 걱정하며 여전히 돌아갈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비상대책위원장도 같은 방송에 출연해 "현재 나오고 있는 5.5년제는 24·25 학번의 완벽한 분리라고 보기 어렵다. 2029년 8월에는 3개 학년이 같이 병원 실습 교육을 받는 상황이 벌어진다"고 교육의 질 저하를 우려했다.
동시에 "학생들도 미래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라며 의대협이 내건 8대 요구안 중에서도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반대를 가장 먼저 꼽으며 "교육이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요구가 가장 메인"이라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