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화병·근골격계 진료지침 공개했지만 표준화는?

한방 화병·근골격계 진료지침 공개했지만 표준화는?

  • 최승원 기자 choisw@doctorsnews.co.kr
  • 승인 2013.10.07 12:48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의학과의 병행치료 의지밝혔지만 이원화 한계는 여전

보건복지부가 한의약선도기술개발(R&D)사업으로 2008년부터 추진한 '화병 임상진료지침' 및 '근골격계 질환 침구임상진료지침'이 최근 마무리됐다. 한방의료기관에서 한의사가 보다 표준화된 치료방법을 쓸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사업의 취지지만 한의학 자체가 표준화하기 어려워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공개된 지침 등에 따르면 화병의 경우 감별진단을 통해 다른 정신장애와 구분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치료는 환자의 체질적인 특성을 고려해 약물이나 침구 등을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침을 이용한 치료로는 주 2~3회의 빈도로 1~2개월 이상 치료하도록 권고했으며 침치료가 화병의 주요 증상인 답답함과 치밀어 오름 등을 치료하는데 매우 중요한 작업이라고 기술했다.

지침이 공개한 화병환자의 특징

․화병의 유병률

4.2~13.3%

․평균연령

40~50대의 중년에게 주로 발병, 화병 역학연구의 경우 평균 49.35세

․성별

여성이 대다수. 화병 환자 중 남성의 비율은 11.8~23.0%

․화병 환자의 교육정도

기존의 연구에서 저학력자가 대다수였던 것에 비해 역학연구에서는 고졸이 41.0%로 가장 많음

․주요스트레스 사건 발생 연령

30대 중반(34.45세)

․스트레스 원인

1. 남편2. 시댁3. 경제

․화병 환자의 질병 단계

1. 분노기 3~% 2. 갈등기 7%,

3. 체념기 13~19% 4. 증상기 66~75%§

․동반하는 질환

1. 소화기계 질환 46.4% 2. 내분비계 질환 37.7%

3. 정신과 질환 36.2% 4. 근골격계 질환 33.3%

․화병과 동반하는 정신 질환

- 기존 연구:신체화장애, 주요우울증, 감정부전장애, 범불안장애

- 화병 역학연구:주요우울장애,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감별불능신체형장애§§

․화병 환자의한의학적 변증

1. 간기울결형 45.2%,

2. 심신불교형 38.7%

 

그밖에 뜸이나 부황 등으로 인한 치료방식 등도 제안했다.

근골격계 질환지침은 한방기관 외래 요양급여비 중 가장 비중을 차질할 만큼 이용환자가 많지만 한의약의 특성상 표준화가 어려워 체계적인 지침이 부족했다며 지침발표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화병 임상진료지침'은 경희대 한의대의 김종우 교수를 책임연구자로, '근골격계 질환 침구임상진료지침'은 원광대 한의대 조남근 교수를 책임연구자로 개발됐다. 완성된 지침은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및 대한침구의학회 등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우울증 등으로 현대의학적 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가 화병으로 한방에서 진료를 받을 경우 고려해야 하는 점들도 기술했다.

향정신성약물에 대해 정확한 치료목표와 기전을 숙지해 한방치료와의 병행여부를 결정하고 병행치료를 할 경우 '양약'의 흡수 및 반감기를 고려해야 한다고 기술하고 있지만 현대의학의 정신과 진료에 대한 지식이 없는 한의사의 결정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화병치료 증례연구를 통해 '양약'과 '한약'을 병행투여해 부작용없이 호전된 임상 증례가 보고됐지만 병행 투여에 대한 정확한 근거를 갖기위해서는 병행투여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며 병행치료에 대한 유보적인 입장도 보였다.

화병 임상진료지침은 '화병연구센터(www.hwabyung.kr)에서, 근골격계 질환 침구 임상 진료지침은 대한침구의학회(www.kamms.org/kamms_guide)에서 볼 수 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