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의료 개선 대책위원회' 구성...위원장 최재욱
정부 시범사업 강행에, 참여 여부 등 대응방안 논의

정부가 추진 중인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의 의료계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논의가 본격 시작됐다.
대한의사협회(회장 추무진)는 일차의료 시범사업에 대한 다각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시범사업 참여여부 등 협회 입장을 결정하기 위한 '일차의료 개선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 구성을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책위는 최재욱 의협 의료정책연구소장을 위원장으로 간사 1명, 위원 17명으로 구성됐다.
구체적으로 의협 집행부에서 위원장·간사·위원 등 4명이 참여하며 서울특별시의사회·경기도의사회·전라북도의사회·강원도의사회 추천 위원 각 1인이 포함됐다. 또 서울시 중랑구와 경기도 시흥시, 전북 전주시, 강원도 원주시, 전북 무주군에서 각 시군구의사회장 5인도 위원으로 합류한다. 이들 지역의사회는 일차의료 시범사업 참여 지역들이다.
이와함께 한개원의협의회·대한가정의학과의사회·대한개원내과의사회·대한일반과개원의협의회 등 일차의료 시범사업과 밀접한 전문과목 의사회 임원들도 대책위에 참여한다. 대한의원협회, 전국의사총연합 등 임의단체들도 대책위와 함께 한다.
위원회는 앞으로 회의를 개최해 정부의 시범사업에 대한 참여여부 등 의협의 입장을 마련하는 등 대응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지난 2013년 11월 고령화 등으로 인한 만성질환 증가 문제를 일차의료 중심으로 해결하겠다며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 추진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후 의협을 배제한채 대한개원내과의사회·대한가정의학회·건보공단·심평원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시범사업 지역을 선정하고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시범사업 추진을 진행해 왔다.
이에 대해 의협은 지난달 30일 상임이사회를 열어 대책위를 구성해 본격 대응키로 의결한 바 있다. 일차의료 시범사업에 대한 직역이나 단체별로 찬반 이견이 발생하고 있어 직역과 전문과목, 지역의 총괄적인 의견을 수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의협의 판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