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지금처럼 국민에 의사 필요한 때 없다" 호소

정부가 전공의들을 향해 다시 대화의 손을 내밀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정부의 선택지가 많지 않다'는 호소와 함께 "전향적인 결단" "대승적 결단" 을 내려달라고 요청했다.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은 31일 오후 긴급 브리핑을 갖고 "전공의협의회가 집단 진료거부를 계속 강행하겠다고 발표한 점은 매우 유감스러운 결정이나,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다시 한번 전향적인 결단을 내려달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이날 문재인 대통령의 수석·보좌관회의 모두 발언을 인용, 전공의들에 "대통령까지 약속한 협의를 믿고 이제 조속히 진료현장으로 돌아와달라"고 호소했다.
"오늘 문재인 대통령께서도 코로나19의 위기가 해소된 이후 정부가 약속한 협의체와 국회의 협의기구 등을 통해 현안 과제 뿐 아니라 의료계가 제기하는 문제들까지 의료계와 충분한 협의를 추진할 것을 말씀하셨다"고 밝힌 김 차관은 "국회 보건복지부장, 의료계 원로 등에 더해 대통령까지 약속한 협의를 믿고 조속히 진료현장으로 돌아올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여기서 더 이상 길어지면 진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의 생명과 안전이 위험해지며, 코로나19에 대한 대응도 차질을 빚을 것"이라며 "우리에게 시간이 많지 않다는 사실을 유념해, 결단을 내려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실제 문 대통령은 이날 수·보회의에서 "지금처럼 국민에게 의사가 필요한 때가 없다"며 "의료계의 대승적인 결단을 촉구하고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원칙적인 법 집행을 통해 강력하게 대처하라"던 지난 26일 발언과 비교해보면 적잖은 온도차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된 후 정부가 약속한 협의체와 국회가 제안한 국회 내의 협의기구 등을 통해 모두가 공감대를 표명한 의료 서비스의 지역 불균형 해소와 필수 의료 강화, 공공의료 확충뿐 아니라 의료계가 제기하는 문제들까지 의료계와 함께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의료계에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첫 번째로 생각하겠노라는 히포크라테스의 선서를 잊지 말아달라"고 요청했다.
"코로나 상황이 급박하기 때문에 우리에게 시간이 많지 않고,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법을 집행해 하는 정부의 입장에서 선택지가 많지도 않다"고 언급한 문 대통령은 "하루속히 업무에 복귀해 환자들을 돌보고, 국민의 불안을 종식시키는 의료계의 대승적 결단을 촉구하고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