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 항암제 후보물질 'CVI-CT-001' 암세포 사멸 유도기전 규명

면역 항암제 후보물질 'CVI-CT-001' 암세포 사멸 유도기전 규명

  • 송성철 기자 medicalnews@hanmail.net
  • 승인 2024.08.23 15:09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AI·생명정보 기술 활용 '유전자 공발현 네트워크' 구축…새 접근법 제시
목암생명과학연구소·차백신연구소 공동연구팀 [Scientific Reports] 발표

목암생명과학연구소와 차백신연구소 공동연구팀은 [Nature] 자매지 [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Comparative network-based analysis of toll-like receptor agonist, L-pampo signaling pathways in immune and cancer cells' 논문을 발표했다.  ⓒ의협신문
목암생명과학연구소와 차백신연구소 공동연구팀은 [Nature] 자매지 [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Comparative network-based analysis of toll-like receptor agonist, L-pampo signaling pathways in immune and cancer cells' 논문을 발표했다. ⓒ의협신문

목암생명과학연구소와 차백신연구소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CVI-CT-001'의 암세포 사멸 유도기전을 규명한 연구결과를 [Nature] 자매지 [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게재했다고 23일 밝혔다.

'CVI-CT-001'은 차백신연구소가 개발한 면역증강제 '엘-팜포(L-pampo™)'를 활용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CVI-CT-001'은 전임상 연구에서 특정 암세포를 사멸시키고 암 세포내의 환경을 고면역원성으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 하지만 'CVI-CT-001'이 어떻게 암 세포를 사멸을 유도하는지, 임세포와 면역세포에 차별적으로 관여지, 어떤 신호 분자가 중요한지 등에 관한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밝혀내지 못했다. 

차백신연구소(전은영·김근태·염정선)와 목암생명과학연구소(신현진·박세라·최아영·김선) 공동연구팀은 'CVI-CT-001'가 어떻게 암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지 알아내기 위해 인공지능(AI)과 생명정보학 알고리즘을 통해 RNA 염기서열분석(RNA-Seq) 기반의 'CVI-CT-001'을 처리한 세포주들의 전사체 발현 데이터를 분석했다. 

공동연구팀은 'CVI-CT-001'에 의해 활성화된 톨 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s, TLR) 신호전달경로와 이와 관련되어 발현된 특정 유전자들의 집합군(cluster)을 찾아냈다. 이를 통해 'CVI-CT-001'이 TLR2/3를 발현하는 암 세포의 대사 및 활성산소(ROS) 발생 경로를 통해 암 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특히, 연구진은 'CVI-CT-001'에 반응하는 세 가지 세포주의 전사체 데이터를 비교, 세포주 별 차등 발현 유전자의 연관성을 모두 반영한 하나의 유전자 공발현 네트워크(gene co-expression network)를 구축했다. 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유전자의 상관관계를 분석, 시간대별 및 세포주별로 차이가 나는 유전자들의 집합군을 찾아냈다. 아울러 유전자 간의 최단 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통해 주요 분자 신호의 하위 네트워크를 재구성함으로써 'CVI-CT-001'이 암 세포를 사멸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들을 예측해 냈다.

L-pampo 유도 PC-3 세포 사멸에 대한 추론된 신호 전달 모시도. L-pampo는 암세포의 TLR(Toll-like receptor)에 관여해 PI3K-AKT 및 <span class='searchWord'>JAK</span>-STAT의 두 가지 주요 신호전달 경로를 촉발한다. 이러한 경로의 활성화는 허브 유전자를 통한 산화적 인산화(OXPHOS)와 활성산소종(ROS)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특히 PC-3에서 L-팜포 유도 암세포 사멸로 이어진다.  ⓒ의협신문
L-pampo 유도 PC-3 세포 사멸에 대한 추론된 신호 전달 모시도. L-pampo는 암세포의 TLR(Toll-like receptor)에 관여해 PI3K-AKT 및 JAK-STAT의 두 가지 주요 신호전달 경로를 촉발한다. 이러한 경로의 활성화는 허브 유전자를 통한 산화적 인산화(OXPHOS)와 활성산소종(ROS)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특히 PC-3에서 L-팜포 유도 암세포 사멸로 이어진다. ⓒ의협신문

공동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고안한 정교한 템플릿 네트워크에 기반한 접근 방식은 질병 또는 약물 메커니즘에 대해 보다 간결하고 테스트 가능한 가설을 생성할 수 있다"면서 "복잡한 분자 데이터를 탐구해야 하는 생명공학자와 AI 전문가에게도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양하고 복잡한 생명과학 분야에 AI 및 생명정보학 기술을 활용하면 지금까지 풀어내지 못한 질병의 기전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 공동연구팀은 "약물의 작용기전을 밝혀낼 수 있고, 효과적인 질병치료 전략 수립과 신약 개발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현진 목암생명과학연구소장은 "이번 연구에서 RNA-시퀀싱 전사체 데이터에 담겨 있는 미세한 약물반응 신호를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잡아냈다"면서 "이번 연구결과는 AI 기술로 약물 작용 메커니즘을 유추해냄으로써 신약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시사한다"고 말했다.

염정선 차백신연구소 대표는 "면역항암제가 암 세포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기전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연구는 'CVI-CT-001'이 암세포를 죽이는 과정이 AI를 활용해 밝혀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면서 "앞으로도 AI 기술을 활용해 신약 후보물질의 유효성과 기전을 빠르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약 개발 전략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