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습도' 단기적으론 폐기능 저하 초래 가능성

'높은 습도' 단기적으론 폐기능 저하 초래 가능성

  • 이영재 기자 garden@kma.org
  • 승인 2025.02.13 10:07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희영 순천향의대 교수팀, 상대습도-폐기능·호흡기증상 상관관계 분석 

윤희영 순천향대서울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
윤희영 순천향대서울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

공기 중 상대 습도가 폐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희영 순천향의대 교수팀(순천향대서울병원 호흡기알레르내과/석진우·이보영)이 2016년∼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데이터를 이용해 상대습도와 폐 기능, 호흡기 증상 간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진은 40세 이상 성인 1만 396명의 폐기능검사 자료와 건강 설문지를 통해 호흡기 증상을 평가했다. 상대 습도 및 기온, 미세먼지 등 환경 데이터를 CMAQ(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모델을 활용해 참가자의 거주지와 연계했다.

1년 이상 장기적으로 높은 습도에 노출된 경우 노력성 폐활량(숨을 최대한 깊게 들이마셨다가 힘껏 내쉬게 해서 공기의 양을 측정하는 검사)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14일 미만의 단기적인 높은 습도는 폐 기능의 일부 지표(1초 강제호기량/노력성 폐활량 비율)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높은 습도가 장기적으로 폐 조직을 보호할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폐 기능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습도가 호흡기 증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확인됐다. 중기(90일∼180일)의 습도가 높은 경우 만성 기침 및 가래 증상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진은 "적절한 습도 유지가 기관지 점막을 보호하고,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윤희영 교수는 "대기 습도는 호흡기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질병과 증상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를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라면서 "적절한 습도 유지가 폐 기능과 호흡기 증상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어서 겨울철에는 가습기를 활용해 습도를 유지하고, 여름철에는 제습기를 사용하거나 환기를 자주 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조언했다.

이 연구논문은 <Respir Res> 저널에 2024년 12월호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습도와 호흡기 건강의 연관성: 2016-2018 대한민국 국민건강영양조사'(Association between humidity and respiratory health: the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